뉴스

'AI 한글화'부터 자율주행까지…AI 대전환 본격화

'AI 한글화'부터 자율주행까지…AI 대전환 본격화
▲ 기획재정부

정부가 기업·공공 부문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AI) 대전환'을 본격 추진합니다.

피지컬 AI 1등, 휴머노이드 3대 강국 도입 등의 목표도 세웠습니다.

누구나 AI를 한글처럼 쉽게 쓰는 'AI 한글화'를 향해 교육에도 나섭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발표했습니다.

AI 정부는 '피지컬 AI 1등 국가'를 목표로 기업 부문에서 7대 과제를 추진합니다.

5년 내 '휴머노이드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나섭니다.

물류 분야를 시작으로 제조, 건설 등 산업 전반에 도입합니다.

2027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고, 2030년까지 선원 없는 자율운항 선박의 기술 개발을 완료할 방침입니다.

자동차, 기계 등 주력 제조업에는 'AI 팩토리'를 확산해 2030년까지 AI 도입률을 40% 이상으로 끌어올립니다.

TV, 냉장고 등 가전에 AI를 탑재해 초기 단계인 'AI 홈서비스' 시장 선점을 노립니다.

항공·소방 등 5대 분야에 특화된 AI 드론 시스템, 자율주행차·가전·로봇·방산 등 4대 분야에 탑재할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도 추진합니다.

공공 부문에서도 복지·고용, 납세 관리, 신약심사 3대 분야에서 바로 AI 도입을 추진합니다.

맞춤형 AI 상담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복지 시스템에 AI 기반을 갖추고, 홈택스 등 납세 시스템도 AI 기반으로 전면 개편합니다.

신약 허가 심사시 자료 분석, 심사서 초안 작성 등에 AI를 활용해 심사 기간을 단축합니다.

모든 국민이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해외 전문가를 유치하는 데도 힘을 싣습니다.

초·중·고 학생부터 대학생, 청년·군인, 일반 국민, 전문가까지 대상층을 세분화한 맞춤형 교육을 해서 인재를 키웁니다.

인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국립대 AI 교수는 금전적 인센티브, AI 분야 석·박사는 전문연구요원 우선 배정 등의 파격적 지원을 합니다.

'해외 석학·신진급 인재 2천명 유치 프로젝트'를 가동하고 연구 인력을 위한 특별비자 신설, 재외 한인 연구자 귀국 유도도 추진합니다.

2030년까지 GPU 5만장 확보 2030년까지 데이터 시장을 '50조원' 규모로 키운다는 목표로 공공 데이터 개방을 추진합니다.

AI 대전환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인공지능 ai

민감한 개인정보나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안심구역'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바꿔서 기업과 연구자 등이 데이터를 더 편리하게 활용하도록 돕습니다.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처리한 '가명정보'는 개방 범위를 넓혀서 산업·연구 현장에서 데이터 활용도를 높입니다.

공공·민간이 생산한 AI 학습용 데이터를 통합 제공하는 '국가 AI 학습용 데이터 클러스터'도 구축합니다.

정부는 '국가 AI 데이터 표준'을 마련하고, 주요 산업별로 데이터 거래·공유 플랫폼을 구축·연계해 2030년까지 데이터 활용 역량을 세계 10위권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AI 기업, 학계,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산학연 연합체'를 구성해 범국가적 협력 체계도 강화합니다.

공공부문에서는 각 기관에 AI 책임관을 지정하고, 공공AX(인공지능 대전환)를 정부업무평가에 반영합니다.

정부는 민관 협력으로 2030년까지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장 이상을 확보한다는 목표도 세웠습니다.

AI 데이터 센터 확충을 위해 전력·세제·규제를 패키지로 지원합니다.

AI 혁신기술과 서비스를 실증할 수 있는 'AI 특화 실증단지' 구축도 추진합니다.

AI 기본법 개선 등 관련 법·제도 정비에도 나설 계획입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