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위안부 합의 뒤집는 것 바람직하지 않아"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지난 정부의 합의를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국민으로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합의였지만, 국가 차원의 약속을 뒤집어선 안 된다는 겁니다.

강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일 정상회담을 앞둔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위안부·강제동원 문제에서 과거 정권이 일본과 맺은 합의를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2015년, 박근혜 정부의 '위안부 합의'와 2023년 윤석열 정부의 '강제동원 제3자 변제안'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힌 겁니다.

이 대통령은 한국 국민으로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전 정권의 합의지만, 국가 간 신뢰와 정책 일관성 또한 중요한 원칙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경제적 문제이기 전에 감정 문제인 만큼 일본이 진심으로 위로의 말을 건네는 것이 중요하다"며 "배상 문제는 오히려 부수적일 수 있다"고 했습니다.

"억울한 피해자에 대한 사과는 상처받은 마음이 치유될 때까지 진지하게 진심으로 미안했다고 말하는 것이 맞다"는 겁니다.

지난 2015년 박근혜 정부는 일본 정부 예산 10억 엔 출연과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불가역적' 해결을 골자로 한 합의문을 발표했는데, 성남시장이던 이 대통령은 피해자 동의도 없는 합의라고 비판했고,

[이재명 대통령 (지난 2016년, 당시 성남시장) : 한일 간 위안부 합의 문제는 국가 간 합의로서의 최소한 형식도 제대로 갖추지 못했고.]

2023년 윤석열 정부가 일본 피고 기업 대신 한국 정부 산하 재단이 강제동원 배상금을 지급하는 '제3자 변제안'을 제시하자, 민주당 대표였던 이 대통령은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지난 2023년, 당시 민주당 대표) : 일본 당국의 진지한 사과가 없이 또, 피해자에 대한 정당한 보상 없이 봉합할 수는 없습니다.]

이 대통령은 오늘(21일) 회의에선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외교에 있어서는 저나 또는 현재 일시적인 정권의 입지보다는 영속적인 국가,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 전체의 이익을 먼저 생각해야 되겠다는 다짐을….]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겠다고 했던 광복절의 대일 메시지와도 같은 맥락인데, 모레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이러한 기조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하륭, 영상편집 : 남일, 디자인 : 박태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