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보건연구원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골다공증 위험 29%↓ 효과"

보건연구원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골다공증 위험 29%↓ 효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없애는 제균 치료가 50대 이상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이 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이런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거트앤리버(Gut and Liver)'에 실렸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헬리코박터 검사를 받은 성인 846명을 2003년부터 2023년까지 최대 20년(평균 10년) 간 추적 관찰해 골다공증 발생률을 비교했습니다.

헬리코박터균을 성공적으로 제균한 그룹(730명)의 골다공증 발생률은 24.5%로 제균 치료를 하지 않은 그룹(116명)의 골다공증 발생률(34.5%) 보다 낮았습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치료에 따른 골다공증 발생 예방 효과

연구팀은 "제균 치료가 골다공증 발생 위험을 약 29%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특히 여성 참가자에게서 제균 치료의 예방 효과가 더욱 뚜렷했고 50세 이상의 여성 참가자에게서 가장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50세 이상 여성의 경우, 제균 치료를 받지 않았을 때 치료를 받은 경우에 비해 골다공증 발생 위험이 1.53배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남성에서는 제균 치료와 골다공증 예방 사이 뚜렷한 통계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박현영 보건연구원장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관리가 위장관질환뿐 아니라 골다공증과 같은 만성질환 예방에까지 기여한다는 중요한 근거가 마련됐다"며 "특히 폐경기를 맞아 골밀도가 낮아진 여성은 헬리코박터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적극적인 제균 치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질병청에 따르면 헬리코박터균은 위염, 위궤양, 위암 등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감염된 흔한 세균으로, 2017년 기준 국내 16세 이상 유병률은 44%입니다.

최근에는 이 세균이 전신 염증 반응을 통해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다만 모든 헬리코박터균 보균자가 제균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보통 소화성 궤양, 조기위암, 위 림프종이 있는 등의 경우에 제균 치료를 시행합니다.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