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30년 된 나무 왜 벌목?"…보조금 대신 '숲 가꾸기' 보상

<앵커>

산불과 산사태로 해마다 숲은 망가지고 있지만, 오히려 정부의 정책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사실, 어제(16일) 짚어봤습니다. 나무를 빨리 심고 또 빨리 팔아버리도록 유도하는 정책, 이제는 바뀌어야 할 텐데요.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 장세만 기후환경전문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기자>

1910년대에 첫 인공 조림을 시작한 강원도 평창의 한 숲, 280헥타르 면적에 잣나무와 소나무 등을 심었습니다.

[박정희/평창 사유림 산주 : 1932년도에 심은 나무입니다. 높이는 거의 30미터 정도 되고요. 톤 수로는 3톤에 가깝습니다.]

이후 1960년대에 자손들이 다시 심은 나무들이 60년 동안 자라 이제 본격 수확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앞으로 '모두 베기' 할 경우 헥타르당 3천만 원 매출이 예상됩니다.

국내 사유림 평균 벌목 값의 30배에 달하는 액수입니다.

[박정희/평창 사유림 산주 : 어릴 때부터 솎아베기를 지속적으로 해와야지만 가능하지. 해주지 않으면 우리가 아는 그런 불량림이 되기 때문에….]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마구잡이 벌목으로 척박해진 토질 탓에 국내에서는 임업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인식이 강했습니다.

그러나 그동안 토양 유기물 등이 쌓이면서 비옥해진 땅도 늘어났고,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잣나무에서 잣을 따거나 솎아베기를 통해 생긴 빈자리에 산나물을 심는 부수입도 생겼습니다.

이런데도 30년 지나면 나무를 베어내고 나랏돈으로 다시 심는 기계적인 조림 방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고, 대통령도 최근 여기에 의문을 표시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지난달 29일 국무회의) : 왜 30년 된 나무를 베어가지고 새로운 묘목을 심냐. 탄소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는데 저는 아직 여전히 상식적으로 납득이 잘 안 되고요.]

장기간 들여 아름드리로 키울 환경도 된 만큼 산림 제도도 새롭게 개선돼야 할 때입니다.

나무만 심으면 돈을 주기보다, 산림의 공익 가치에 보상을 해주라는 겁니다.

[윤여창/서울대 산림과학부 명예교수 : (해당 산림 덕분에) 수자원이 더 많이 확보되거나 이산화탄소를 보다 더 오랫동안 땅 위에 머무를 수 있도록 경비를 보조해 주는 (제도로 전환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는 열매를 맺는 참나무 등 활엽수를 잘 가꾸면 지원금을 줍니다.

새와 동물, 곤충류를 불러들여 생태계 구성의 매개체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도 생태계와 산불 위험 등을 종합 분석해 권장할 나무 종류를 선별하는 등 체계적인 정책이 필요합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남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