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첫 한미정상회담 앞둔 이재명 대통령…안보·통상 '트럼프 변수' 시험대

첫 한미정상회담 앞둔 이재명 대통령…안보·통상 '트럼프 변수' 시험대
이재명 대통령 임기 초반 '국익 중심 실용외교'의 성패를 가를 첫 한미정상회담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번 정상회담은 현지 시간 오는 25일 워싱턴DC에서 열리며, 결과에 따라 이재명 정부의 외교 방향은 물론 국정 운영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주 무리한 외부 일정을 자제하고 정상회담 준비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회담의 최대 관심사는 안보 협상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미 동맹 현대화'를 요구하며 주한미군 역할 조정, 한국군 부담 확대, 국방비 증액,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엘브리지 콜비 미 국방부 정책담당 차관은 지난 15일 "모든 동맹국은 자신의 몫을 다해야 한다"며 한국에도 방위비 증액 압박을 시사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은 8일 기자회견에서 "중요한 건 숫자가 아닌 역량"이라고 말하며 감축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여기에 '전략적 유연성' 확대 요구 가능성까지 나오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 안보 안정성을 지키면서도 미국과 접점을 찾는 절충안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습니다.

통상 분야도 만만치 않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SNS에서 "한국이 1천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투자도 약속했다"며 이번 회담에서 발표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또, 반도체 등 주요 품목의 관세율 논의도 남아 있어, 한국이 다른 동맹국보다 불리하지 않게 방어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돌발 발언 가능성도 변수입니다.

실제로 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과의 회담에서 갑작스레 '백인 농부 집단살해' 문제를 거론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런 변수를 대비해 예행연습 등 준비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 대통령은 25일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23일 일본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한일정상회담을 합니다.

최근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일 상생 협력을 언급한 이 대통령과, 패전일 추도식에서 '반성'을 언급한 이시바 총리 발언으로 양국 관계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회담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에 앞서 '한미일 협력'을 부각하려는 사전 작업 성격도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여권 관계자는 "일각의 친중 우려를 불식시키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