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북한' 대신 '북측'…이 대통령 "흡수통일 추구 안 해"

<앵커>

우리 민족이 일제에 빼앗긴 자유와 빛을 찾은 지 오늘(15일)로 80주년을 맞았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후 첫 광복절 경축사에서 "항일 투쟁의 역사를 기리는 것은, 우리의 과거와 오늘, 미래를 지키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경축사에는 북한과 일본을 향한 메시지도 담겼는데, 이 대통령은 북한 체제를 존중하고 어떤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을 향해 남북대화의 장으로 다시 나오라고 촉구한 겁니다.

먼저, 안정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일제로부터 국권을 되찾은 광복 80주년이자,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 맞는 광복절 경축식.

이 대통령은 북한 체제를 존중하며, 어떤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겠다는 대북 메시지를 발표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현재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밝힙니다.]

"정권이 교체됐지만, 서울은 여전히 흡수통일을 추구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북한이 대남 불신감을 표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한민국 일부'라는 뜻이 담긴 '북한'이라는 용어 대신, '북측'이라고 표현한 이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는, 그런 불신감을 없애는 데 초점을 맞춘 걸로 풀이됩니다.

이 대통령은 '9·19 군사합의'를 선제적, 단계적으로 복원하겠다며 군사분계선 인근 훈련의 중단 같은 조치에 나서겠다는 뜻도 내비쳤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신뢰를 회복하고 단절된 대화를 복원하는 길에 북측이 화답하길 인내하며 기대하겠습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비핵화를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비핵화가 어려운 과제지만, '핵 없는 한반도'를 추구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재명 대통령 : 평화로운 한반도는 핵 없는 한반도이며, 주변국과 우호적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한반도입니다.]

남북관계 개선을 추구하되, 북한 비핵화라는 목표는 견지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북한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평양 개선문 광장에서 대규모 기념식을 개최했습니다.

김정은 총비서가 방북 중인 러시아 하원의장과 함께 참석해 연설했는데, 러시아와의 유대만 강조했을 뿐 한국과 미국에 대한 언급은 없었습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 영상편집 : 오영택)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