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제사회, 이스라엘에 "서안 정착촌 건설 계획 철회" 촉구

국제사회, 이스라엘에 "서안 정착촌 건설 계획 철회" 촉구
▲ 현지 시간 14일 정착촌 건설 계획 설명하는 이스라엘 재무장관

국제사회가 이스라엘에 대해 요르단강 서안 정착촌 건설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AFP와 로이터 등 외신들은 현지 시간 15일 카야 칼라스 유럽연합 외교·안보정책가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 정부의 E1 정착촌 계획 추진 결정은 국제법 위반이자 두 국가 해법을 더 해치는 것"이라며 "EU는 그 심대한 파급 효과를 주목하는 가운데 이스라엘에 이 결정의 철회를 요구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이스라엘에 정착촌 계획을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고 스테판 두자릭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이 밝혔습니다.

독일과 튀르키예, 유엔도 이스라엘의 정착촌 계획을 강하게 규탄하며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독일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서안지구 이스라엘 점령 지역에 대한 이스라엘 정부의 수천 개의 새로운 정착지 발표를 강력히 거부한다"면서 정착촌 건설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튀르키예 외무부는 "이 조치는 국제법과 유엔 결의를 완전히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난하고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건설만이 지속적인 평화를 달성할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동예루살렘의 전략적 요충인 E1 지역은 동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 내 정착촌인 말레 아두민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서안 내에서 외교적으로 가장 민감한 지역으로 꼽힙니다.

이스라엘이 이곳에 정착촌을 건설하면 요르단강 북단과 남단 사이를 갈라놓아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건설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전날 극우 성향의 베잘렐 스모트리히 이스라엘 재무장관은 동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을 분리하는 정착촌 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모트리히 장관실은 이 조치가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계획을 무산시킬 것이라며 "서안의 기존 정착지와 예루살렘 사이에 주택 3천401채를 건설하는 계획에 대해 장관이 직접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이 오랫동안 보류해온 이 계획의 승인에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동의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스라엘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을 계기로 가자지구와 서안을 점령하자 유대인들이 이들 지역에 들어가 정착촌을 세웠습니다.

전쟁으로 점령한 지역에 정착촌을 세우는 것은 국제법 위반으로 국제사회에서 이스라엘 정착촌을 합법으로 인정하는 곳은 거의 없습니다.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서안과 함께 양대 팔레스타인 자치구를 이루는 가자지구에서는 2005년 유대인 정착촌 21곳을 비우고 자국민과 군대를 철수한 바 있습니다.

네타냐후가 이끄는 이스라엘 내각은 지난 5월 요르단강 서안에 유대인 정착촌 22곳을 추가로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에 스모트리히 재무장관을 비롯해 연립내각의 일부 극우 각료들은 요르단강 서안을 이스라엘 영토로 병합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