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최교진 교육장관 후보자 "'서울대 10대 만들기'는 교육 정상화 정책…고등교육 재원 최대 지원"

최교진 교육장관 후보자 "'서울대 10대 만들기'는 교육 정상화 정책…고등교육 재원 최대 지원"
▲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 출근하며 지명 소감을 밝히고 있다.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교육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에 대해 "교육 정상화와 균형발전을 생각해 나온 정책"이라며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뜻을 밝혔습니다.

최 후보자는 오늘 오전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해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 처음 출근하면서 "전국 모든 아이들이 서울 특정 대학에 순서대로 가려는 과도한 경쟁 체제가 있는 것을 허물고, 자기 지역에서도 좋은 대학에 갈 수 있도록 하고, 졸업하고 살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라고 '서울대 10가 만들기'의 의미를 설명했습니다.

앞서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에 '서울대 10개 만들기'가 공식 국정과제로 확정되면서 이 공약은 본격 추진을 앞두고 있습니다.

최 후보자는 고등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우리가 이제 선진국이 됐는데 이 속에서 이겨낼 수 있는 인재를 대학에서 잘 길러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말 필요한 인재가 특정 분야에 쏠리지 않고 학문이 고르게 발전할 수 있도록 대학 혁신도 필요하다"면서 "그러기 위해서 국가에서 고등교육을 위한 재원을 최대한 확보해 지원하는 게 함께 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세종시교육감 시절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했던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던 최 후보자는 AI 교육에 대해서는 최대한 지원할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AI 교과서 도입에 대해서 '좀 서두른다. 최대한 현장에서 보완하자'는 의견이었지 AI를 활용해서 교육을 좀 더 효과적으로 하자는 데 이견이 있지는 않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학교에서 교육자료로라도 활용할 수 있게 최대한 지원할 것이고 교육부에서도 시도교육청과 협의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자신이 교육감으로 있었던 세종시의 사교육 참여율이 전국 3위라는 통계에 대해서는 "매우 아픈 지적"이라면서 대응이 부족했음을 인정했습니다.

다만, 사교육 문제는 "교육부 혼자가 아니라 국가교육위원회 같은 기구를 통해서 범국민적인 사회 인식 개선을 함께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장관 취임 후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싶은 정책을 꼽아달라는 질문에는 "고등교육 문제가 핵심인 것 같다"며 "교육을 통해서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인재를 기르는 것이 제일 첫 번째"라고 답했습니다.

그다음으로 유·초·중·고 현안을 꼽으며 "교권 침해와 유보통합 문제, 고교 학점제 시행에서 현장의 어려움 등을 우선순위를 잡고 하나하나 빠르게 보완해 시행하겠다"면서 "새롭게 논의할 부분은 당사자들과 협조하고 논의해 해답을 찾아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