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추가경정예산 집행에 따른 효과에 소비가 증가세로 전환했다고 정부가 종전보다 낙관적인 진단을 내놨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14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투자 회복 지연,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정책 효과 등으로 소비가 증가세로 전환되는 등 향후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21일부터 지급되기 시작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비롯해 1·2차 추경 효과가 반영됐다는 겁니다.
정부 12·3 비상계엄 이후 올해 1월부터 '하방 압력 증가' 등 표현으로 경기를 진단했다가 6월에는 '증가'를 뺐고, 지난달부터는 '소비 심리 개선 등 긍정적 신호'라는 문구를 담았습니다.
이달에는 소비 심리 개선이 소비 증가로 이어졌다고 판단하는 등 더 낙관적이 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정부가 발표하는 속보성 지표에 따르면, 지난달 카드 국내 승인액은 작년 동월보다 6.3% 증가했습니다.
올해 2월(6.8%)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입니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1년 전보다 36.2% 늘었습니다.
올해 1월(39.7%) 이후 6개월 만에 30%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소비 심리도 회복세를 이어갔습니다.
7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0.8로 6월보다 2.1p 올라 넉 달 연속 상승했습니다.
지난 6월 소매판매도 내구재(-1.6%)에서 줄었으나 준내구재(4.1%), 비내구재(0.3%)에서 늘어 전월보다 0.5% 증가했습니다.
정부는 "7월 소매판매는 소비자심리지수 개선, 카드 국내 승인액 증가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승용차 내수 판매량 증가세 둔화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건설 경기 불황과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는 계속되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추경을 신속히 집행하고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비·지역경제 등 내수 활성화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범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기업 피해지원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