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전남 국립 의과대학 설립 국회 대토론회 및 범도민 결의대회'에서 김영록 전남지사와 박지원 의원 등 지역구 의원, 도민들이 국립의대 설립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광역지자체 가운데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에 정부의 국정과제로 국립의대 설립이 포함됐습니다.
일부에서 전남에 신설이 추진될 의대의 성격을 지역의사제 배출을 담고 있는 '공공의대'와 혼용하고 있지만, 전남도는 일반 의대와 같은 '국립의대' 설립을 추진한 가운데 정부가 최종적으로 의대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지 주목됩니다.
오늘(14일) 전남도에 따르면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국정과제에 공공의료 개선을 위한 국립의대 설립이 반영됐습니다.
전남도는 국립 목포대와 국립 순천대의 통합을 거쳐 2027년 개교를 목표로 통합대학교 국립의대 신설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에 따라 전남지역에 국립의대 설립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지난 6월 17일 공개된 국정기획위원회의 새 정부 성장정책 해설서에는 "국립의대를 설립해 공공 필수 지역 의료 인력을 직접 양성"이라고 명시됐습니다.
이 대통령도 대선 후보 시절인 4월 24일 페이스북에 "의대가 없는 유일한 광역지자체인 전남과 의대(서남대)가 폐교된 전북에는 국립의대를 설립해 공공 필수 지역 의료 인력을 직접 양성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도 4월 27일 공식홈페이지에 '전남 전북에 국립의대 설립으로 인력 양성 의료 사각지대 해소'라고 밝혔습니다.
공공의대는 이 대통령이 후보 시절 '인천·전남·전북에 공공의대 설립'을 약속하면서 언급됐습니다.
이 후보는 당시 경북에만 국립의대 신설을 약속했었습니다.
이에 따라 지역의 열악한 의료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공공 의료를 강화한다는 취지로 공공의대를 언급했지만, 국립의대와 성격이 달라 전남 지역에서는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전남도는 정부와 국회, 민주당 등을 상대로 공공의대가 아닌 국립의대로 신설해줄 것을 꾸준히 건의해왔습니다.
전남도 관계자는 "일부 언론에서 전남에 '공공의대 설립'이라고 보도해 정정을 요구했다"며 "전남에 신설이 추진될 의과대학은 일반적인 의대의 성격을 가진 국립의대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