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원식 국회의장이 13일 국회 사랑재에서 광복 80주년을 맞이해 열린 반민특위 유족 초청 오찬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해방 후 친일청산 기구의 역할을 하다 1년 만에 해체된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의 유족을 만나 "반민특위의 역사는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의 과제"라고 말했습니다.
우 의장은 국회 사랑재에서 유족과 함께 한 오찬에서 "반민특위의 설립과 활동, 와해의 과정은 해방 이후 우리 국가가 겪어야 했던 아픈 역사 중 하나"라며 이같이 언급했습니다.
우 의장은 "반민특위는 일제강점기에 민족을 배신하고 부일(附日)에 앞장선 자들을 단죄하기 위해 제헌국회가 앞장선 새로운 대한민국의 '정의의 시작'이었다"며 "1949년 6월 6일 경찰의 청사 습격으로 특위의 활동은 중단됐고, 민족 반역자들에 대한 처벌은 역사 속 미완으로 남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친일 청산 미완은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며 "역사 정의가 실현되는 나라, 독립운동 정신이 살아 숨 쉬는 나라를 만드는 길에 국회가 함께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우 의장은 국회 광복 80주년 전야제 행사를 앞두고 지난해 윤석열 정부 광복절 행사에 불참한 이유를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우 의장은 페이스북에 "윤석열 정권에서의 광복절 행사는 최악"이라며 "뉴라이트 출신을 독립기념관장으로 임명하면서 논란이 크게 일었고, 광복절 행사에 공동행사 주최인 광복회가 참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썼습니다.
그러면서 "국가의 서열 2위인 국회의장 역시 도저히 참석할 수 없어 불참하게 됐다"며 "국가와 민족의 가장 기쁜 날을 이렇게 속상해하고만 있을 수 있을지 생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광복절 전야제로 국민축제를 열자, 그것도 민의의 전당인 국회에서 하자'고 결정했다"며 "국민축제로 진행되는 광복절 전야제 행사 취지에 보훈부가 동의해서 참여했고, 광복회도 주최로 참여하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우 의장은 이날 덕수궁 돈덕전을 찾아 국가유산청 주최 광복 80주년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 유산' 전시회를 관람하기도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