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계속된 민원에 숨진 교사…"앞으로 연락처 공개 금지"

<앵커>

제주에서 발생한 중학교 교사 사망 사건 이후에 제주도교육청은 학교 민원 처리 체계를 재정비하고 있습니다. 공개된 초안에는 교원 개인의 연락처 공개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학교 민원 처리 표준 절차를 보다 구체화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안수경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5월 도내 한 중학교에서 발생한 교사 사망 사건.

숨진 교사는 개인 휴대전화로 학생 가족의 항의 민원을 반복적으로 받아온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었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앞으로 교원의 개인 연락처 공개가 원칙적으로 금지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두 달여간 교원 인식 조사와 간담회 등을 거쳐 마련한 교육활동 보호 대책안을 공개했습니다.

상담을 제외한 모든 민원은 학교 민원대응팀이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다음 달 시범 개통되는 온라인시스템과 학교 대표전화, 홈페이지 등 공식 창구를 통해서 접수됩니다.

교사 개인이나 교실 전화로 민원인이 직접 연결되거나 수업 중 찾아오는 일은 차단하겠다는 방침입니다.

[현계련/제주도교육청 정서회복지원팀장 : 학교와 교육청이 어떻게 책임 대응할 수 있을까라는 역할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고. 든든하게 보장을 받을 수 있게 법률 지원을 강화한다든가.]

다만 민원과 상담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지적과 함께, 학교 민원 대응팀의 전문성과 행정 인력 보강 필요성도 제기됐습니다.

[유상범/제주교사노조 교권국장 : 현장에 정착할 때까지 수시 점검하고, 평가하고, 마지막에 선생님들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정도까지 계속해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부모들도 민원 창구 단일화와 절차 체계화 필요성에 공감했습니다.

[박영미/제주학부모회장연합회장 : 학교와 충분히 소통하고, 그 소통엔 신뢰와 존중이 바탕이 돼 학부모와 교원 사이에 신뢰를 구축하는 그런 과정도 충분히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도교육청이 이달 말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인 가운데 현장에서는 교육 주체인 교사와 학생, 학부모 등 교육공동체 회복을 위한 교육활동 보호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영상취재 : 박주혁 JIBS)

JIBS 안수경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