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첫 국가별 인권 보고서에서 미 국무부는 북한의 인권 상황을 여전히 매우 심각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 정부는 만행과 강압으로 국가 지배력을 유지한다는 겁니다.
또, 지난 1년 동안 변화도 없었고 인권 침해를 저지른 관료를 처벌하기 위한 조치도 없었다고 비판했습니다.
불법적인 살해, 고문, 강제노동과 인신매매 등을 주요 인권 침해 사례로 나열했습니다.
기존 보고서와 비슷한 내용인데, 지난해 4월 바이든 정부 때 보고서와 비교하면 북한 정치체제에 대한 비판이 빠졌습니다.
당시 보고서엔 북한 주민은 공정한 선거를 통해 정부를 선택할 수 없고, 야당도 허용되지 않는다고 명시됐습니다.
보고서 분량도 53장에서 25장으로 크게 줄었습니다.
[태미 브루스/미 국무부 대변인 : 트럼프 정부 관점과 시각에 따라 수정이 필요했습니다. 그런 수정이 이뤄진 것입니다.]
루비오 국무장관이 다른 나라 선거제도의 정당성에 대해 평가하지 말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지만, 북한과의 대화를 추진하는 트럼프 정부의 입장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세스 베일리/미 국무부 동아태국 부차관보 대행 (지난 8일) : 트럼프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뒤 목표 달성을 위해 북한과 협상에 참여할 의지를 분명히 밝혔습니다.]
오는 15일 알래스카에서 열리는 미국과 러시아 간 정상회담에서 북한 관련 언급이 나올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취재 : 김용태,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최혜영,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