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주 명동의 한 백화점에 대한 폭발물 협박 예고를 시작으로 최근 이런 허위 협박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국내 협박범들은 대부분 꼬리가 잡혔는데, 일본 변호사 이름으로 해외에서 인터넷 팩스를 보내고 있는 협박범을 찾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전형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오늘(12일) 새벽 4시 반쯤 경찰 민원 콜센터에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있는 서울구치소를 폭파하겠다"는 전화 한 통이 걸려 왔습니다.
경찰은 신고 접수 50여 분 만에 경기 안양시에서 공중 협박 혐의로 50대 남성을 긴급 체포했습니다.
국내 허위 테러 협박범들에 대한 신속한 체포가 이어지고 있는데, 최근 잇따라 테러 예고 팩스를 보낸 인물의 신원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 협박범은 지난 7일 학생들에 대한 황산 테러를 예고한 데 이어 그제는 송파구 올림픽 체조경기장, 어제는 광주 백화점 2곳에 폭탄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팩스를 보냈습니다.
협박 팩스는 지난 2023년 8월부터 이어지고 있는 일본발 협박 팩스와 내용이 비슷합니다.
'가라사와 다카히로'라는 일본 변호사 명의로 발송됐는데, 2년간 접수된 폭파 예고만 44건에 달합니다.
과거 폭파 예고 팩스와 비교해 보면 모두 일본어를 한국어로 번역한 듯한 문장에 사용하는 문구가 공통적입니다.
문제는 협박범 신원 확인이 어렵다는 겁니다.
해외에서 보내는 인터넷 팩스는 추적이 쉽지 않은데, 팩스 번호가 일본으로 나와 현지 수사당국 협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경찰은 일본 측에 인터폴 공조를 여러 차례 요청했지만 피의자 특정에 의미 있는 답변을 얻지 못했습니다.
[이윤호/동국대 경찰행정학과 명예교수 : 경찰력의 낭비도 물론, 기업 손실도 마찬가지고. 이런 협박으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하고 있다면 그런 보이지 않는 피해가 훨씬 크다는 거죠.]
허위 테러 협박범들에 대한 강력한 형사처벌과 거액의 배상금을 물려야 한다는 의견 속에 경찰은 일본 경시청과 공조 회의를 곧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정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