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애 예능 시장에서 '모태솔로' 콘셉트는 이미 검증된 흥행 치트키다. '모솔' 콘텐츠가 만들어낸 수많은 레전드 밈이 여전히 사랑받고, 하나의 웃음 코드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웃음 코드라는 것이, '모솔'을 하나의 낙인 또는 결핍으로 규정하는 의도를 담고 있는데, 이런 '모솔'에 대한 편견을 깨는 새로운 넷플릭스 예능이 탄생했다.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 싶어>(이하 <모태솔로>)다.
지금까지의 연애 예능, 특히 <나는 솔로> 류의 프로그램에서는 '모솔'이 '현실감 넘치는 웃음 소재'로 소비되곤 했다. 어딘가 어색하고 서툰 모습은 재미 코드였고, 때론 '모자란 사람들의 연애 도전기'처럼 비쳤다. '모솔'에게 풍기는 이미지에 왠지 모를 짠함이 있다지만, 이 또한 방송이 반복적으로 주입해 온 서사적 틀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넷플릭스가 만든 예능 <모태솔로>가 그 서사의 틀을 바꿔놓았다.
<모태솔로>는 '모솔'이라는 정형화된 꼬리표를 이른바 <하트시그널>식 감정 서사와 그림체로 구성하면서, '모솔'을 결핍의 존재가 아닌 감정의 시작점에 선 청춘으로 새롭게 그려낸다. 누구에게나 첫사랑이 있듯, 서툴렀던 첫사랑의 기억을 되돌리고 싶은 사람, 아직 '모솔'인 젊은이들 모두의 관심을 끌 수 있게 프로그램의 색깔을 입혔다. 이러한 시도는 <모태솔로>를 더욱 신선하고 매력적으로 다가오게 만들었다.

물론 여느 '모솔 예능'처럼 초반 몇몇 남성 출연자들의 '모솔적 면모'가 웃음의 코드로 활용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다양한 출연진의 각기 다른 사연을 보여줌으로써 각자의 인생과 사연을 단순히 '모솔 이미지'로 규정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연예인 MC들의 도움으로 메이크오버를 받는 출연자들의 모습은 여느 연애 예능과는 다른 관전 포인트다. 외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내적인 상처까지 두루 개선해 나가며, 그들의 처음을 진심으로 응원하는 MC들의 모습이 담겼다.
메이크오버 과정을 통해 일종의 유대감이 생긴 연예인과 출연자의 모습도 색달랐는데, 출연진의 연애 과정을 스튜디오에서 지켜보면서 진심 어린 안타까움과 응원을 보내는 MC들의 모습이 상당히 인상 깊었다. 특히 카더가든의 현실 반응이 큰 웃음을 자아냈고, 이 프로그램의 재미를 한층 배가시키는데 일조하였다. 카더가든의 '상호'를 향한 탄식이 매번 큰 웃음을 만들어냈고, 서인국의 '재윤'을 향한 뿌듯한 마음 또한 그들이 진심으로 출연자들을 응원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했다.
<모태솔로>는 <나는 솔로>의 현실감에 <하트 시그널>식 연애의 환상, 결정적으로 청년들의 성장기를 담고 있어 조금 색다른 연애 예능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여느 연애 예능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종영 후 '현커' 여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뜨겁다. '현커' 뿐만 아니라, 출연자들의 '모솔 탈출' 여부에도 뜨거운 관심이 쏟아지는 것을 보면, 시청자들이 출연자들에게 보낸 응원 역시 진심이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그 과정 중에서 일반인 예능이 가진 문제점 - 이를테면 일반인 출연자에 대한 도 넘은 관심과 비난 등이 어린 친구들의 마음을 다치게 한 부분도 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