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월~금 (14:00~16:00)
■ 진행 : 편상욱 앵커
■ 대담 : 김지호 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윤기찬 국민의힘 법률위 부위원장
--------------------------------------------
● "계엄해서 누가 죽었나?"
김지호 / 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국힘, 국가관 관련해 끊어낼 것은 끊어내야"
윤기찬 / 국민의힘 법률위 부위원장
"계파 갈등 뛰어넘는 행보하는 후보 없어 안타까워"
▷ 편상욱 / 앵커 : 계속해서 국민의힘 전당대회로 가보겠습니다. 김문수 후보가 한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비상계엄을 마치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해서 논란입니다. 찬탄 대 반탄 구도가 더 뚜렷해지는 양상인데요. 영상 먼저 보고 오죠. // 윤기찬 부위원장, 김문수 장동혁 대 조경태 안철수. 찬탄 대 반탄 구도가 더 강해지는 느낌인데요.
▶ 윤기찬 / 국민의힘 법률위 부위원장 : 그러니까 이전에 지난 당 대표 선거에서는 또 친윤 반윤 해서 그 구도가 대선 거치면서 찬탄 반탄.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는 거죠. 그런데 그 누구 하나 이 갈등 구도를 뛰어넘는 행보를 하시는 분이 하나도 없다는 거, 안타깝게 생각을 하고요. 물론 갈등 구도를 이용하는 것이 당 대표 선거에서 훨씬 더 손쉽게 지지층을 끌어모으는 방법인 거 다 알지만 이것이 상대방, 민주당과의 대결 구도가 아니잖아요. 그러면 당내에서 봉합을 한 번이라도 시도하시는 분, 이 찬탄 반탄을 뛰어넘는 접바둑을 두는 것이 아니고 저쪽 귀퉁이에다 바둑 하나를 두시는 분, 이런 분을 나타나기를 그렇게 고대해도 안 나오네요. 개인적으로 보면 언제까지나 윤석열 전 대통령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상관관계로 본인들의 입지를 다질 것인지. 저는 다른 분 한 분이 나왔으면 좋겠다. 또는 현 나와 있는 분 중에 그간의 본인의 행보를 뒤로 미루고 좀 더 다른 행보를 토대로 해서 당원들의 마음을 얻어가는 분, 그런 언행을 하시는 분, 이런 분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합니다.
▷ 편상욱 / 앵커 : 윤기찬 부위원장도 같은 당이지만 좀 답답한 상황인 모양인데 김지호 대변인 보시기에는 어때요? 윤석열 대통령에서 지금 한 발짝도 떠나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국민의힘.
▶ 김지호 / 더불어민주당 전 대변인 : 정치라는 게 좀 유연해야 하고 여러 사람들의 생각과 의견을 담아야 되는 건 맞습니다. 그런데 국가 간 국가 반역에 관한 이러한 사항들은 사실 우리 국가 공동체를 파괴하는 행위잖아요. 그러면 일정 정도의 기준과 선이 있어야 하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 같은 경우는 이미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이 됐고 두 달 전에 조기 대선으로 일단락이 된 상황이거든요. 그런데 지금 국민의힘의 지지자와 당원 구성이 윤 어게인을 외치는 그러한 구구적인 성향을 가지신 분들이 많다 보니까 당 대표 선거에 그러한 극우적인 지지자들의 표를 한 번 받아보겠다는 생각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어떤 재입당에 대해서 긍정적 시그널을 이야기하는 후보가 둘이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불행하게도 이 두 분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저는 정치인은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고 정치권은 자신의 당선을 생각하기 위해서 뭔가 유권자의 표를 구걸하는 그런 행태를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 관련해서는 국민의힘이 여러 얘기할 것 없이 국가관에 관련해서 좀 끊어낼 것은 끊어내야 하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
▶ 윤기찬 / 국민의힘 법률위 부위원장 : 그 극우라는 단어를 너무 편하게 함부로 쓰는데 제가 민주당에 소위 강성 지지층을 저희가 극좌 극우라고 이렇게 얘기하지 않듯이 강성 지지층이라는 표현은 가능하다고 봅니다마는 해당 지지층들이 여러 가지 주장하는 내용들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평가하는 극우적 그런 내용을 주장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양쪽 정치 집단이 다소 좀 예의를 차려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요. 물론 극단적인 주장이나 강성 지지를 하는 분들, 그 지지층을 토대로 해서 펼쳐가는 분들도 계신데 저는 개인적으로 이 당 대표 선거가 끝나면 뭔가 다른 행보가 이어지겠지만 그 싹을 지금부터 누군가 보여줬으면 좋겠다. 우리 대변인님 말씀한 것처럼 실제 그래야지만 이재명 대통령이 펼치고 있는 견제 없는 이런 국정 독주, 민주당이 펼치고 있는 견제 없는 의정 독주, 이런 것들을 효율적으로 막으려면 민심을 데리고 와야 하는데 민심을 데리고 오려고 하면 약간 한도 있는 어떤 지지층 결집에 나아가야 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합니다.
▷ 편상욱 / 앵커 : 이런 상황에서 한동훈 전 대표는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았지만 국민의힘 전당대회와 관련해서 계속해서 메시지를 내고 있습니다. 잠깐 볼까요? 계엄을 막았으니 유혈 사태가 안 난 것이지 유혈 사태가 안 났으니 계엄이 별거 아닌 것이 되는 게 아닙니다. 결정적으로 김문수 후보의 얘기를 정면으로 겨냥했습니다. 12월 3일 밤 계엄이 유지되었다면 대규모 국민 저항으로 정권은 전복되고 국민의힘은 완전히 소멸되었을 것입니다. 이렇게 썼습니다. 윤기찬 부위원장, 일단 한동훈 전 대표 입장에서는 김문수 후보를 상당히 직격했네요.
▶ 윤기찬 / 국민의힘 법률위 부위원장 : 간접 지원하는 듯한 느낌은 받는데 저는 한동훈 대표의 저 말은 틀린 건 아니에요. 그리고 김문수 후보가 일부 유튜브 방송에 나가서 사실 슬기롭지 못한 말을 한 것도 맞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대해서 조금 다른 해석을 통해서 이걸 완화시켜주는 것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해요. 왜냐하면 저런 말로 치고받고 하게 되면 당 자체가 타격을 받아요. 해당 후보가 당선되든 떨어지든 그 타격은 그대로 남는 것이기 때문에 후유증으로 남습니다. 그걸 모를 한동훈 대표가 아닐지언데 본인들의 어떤, 본인이 원하는 당 대표를 당선시키기 위해서 사실은 초가삼간 태우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도 들고 단 한 번이라도 민주당을 견제하고 당내에 어떤 본인한테 해가 되는 발언을 했다 하더라도 좀 톤다운 시키는, 옹호한 듯한 이런 서로 간의 동지애 정도는 보여주면서 팩트를 통해서 좀 고쳐나가는, 이런 행보도 어떨까라는 개인적인 아쉬움이 좀 있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알겠습니다. 오늘 정치여담야담 여기서 모두 마무리하죠.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