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로부터 나란히 50%라는 고율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된 브라질과 인도가 연대 의지를 다지며 다자주의에 입각한 교역 확대를 결의했습니다.
브라질 대통령실은 7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 "오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1시간가량 전화 통화를 했다"며 "두 정상은 글로벌 경제 상황과 일방적인 관세 부과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인도 정부 역시 "양국 정상이 관세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두 국가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50%의 관세율을 부과 받았습니다.
39% 관세를 부과 받은 스위스도 전날 미국을 찾아가 막판 협상을 시도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만나지 않고 귀국했습니다.
켈러주터 대통령은 "많이 투자했는데도 고율 관세로 징벌을 받으면 그럴 가치가 있는지 스스로 물어야 한다"며 "규칙에 기반한 관계를 위해 노력하겠지만 어떤 비용을 치르더라도 꼭 그런 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자리·소득 통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패널 여러 장을 들고 보수성향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의 스티브 무어 박사와 함께 기자들 앞에 나타났습니다.
무어 박사는 트럼프 1기 행정부의 4년과 바이든 행정부의 4년간 가계소득 변화를 비교하면서 "트럼프 대통령 재임 중 평균 실질 가계소득은 6천400달러 증가한 반면, 바이든 재임 중에는 551달러 증가에 불과했다"며 "코로나 시절(트럼프 1기 말인 2020년)을 포함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처음 집권했을 때보다 최근의 가계 실질 중위소득이 가파르게 증가했다는 패널을 가리키며 "믿을 수 없는 수치"라고 스스로를 칭찬했습니다.
(구성 : 진상명 / 영상편집 : 김복형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