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캐나다에 35%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지만, 캐나다 정부는 여전히 신중한 대응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BBC는 지난달 말까지였던 미국과 캐나다 무역 협상 마감 시한이 무산됐지만, 캐나다가 급하게 합의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방송은 캐나다가 표면적으로는 높은 관세율을 맞았지만, 실제로는 전체 미국 수출의 90%가 무관세 통관이 가능하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1기 트럼프 정부에서 체결된 북미무역협정, CUSMA 덕분입니다.
서류만 제대로 제출하면 대부분의 캐나다산 제품이 면세 혜택을 받고 있다는 겁니다.
BBC는 한국·EU·일본은 15%, 인도네시아·필리핀은 19%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는데, 이들 국가는 캐나다처럼 예외 조건이 거의 없어 실질 부담이 더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35% 관세율을 적용받는 캐나다가 오히려 한국보다 나은 조건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마크 카니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 타결을 위해 조바심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
마크 카니 │ 캐나다 총리 (지난 7월 28일) 캐나다 기업과 국민들에게 드릴 수 있는 확실한 약속은, 캐나다에 올바르고 이익이 되는 합의가 아니면 우리는 결코 서명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캐나다는 미국의 고율 관세에 대응해 지난 3월, 600억 캐나다 달러 규모의 보복 관세를 이미 부과했습니다.
이처럼 미국에 관세 부과에 보복 관세로 맞서는 나라는 현재까지 중국과 캐나다밖에 없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캐나다가 보복 관세 확대보다는 자국 산업 보호와 수출 다변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캐나다가 단기 협상에 집착하지 않고, 중장기적으로 '탈미국 전략'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BBC는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순간이 올수록, 미국 내 정치적 압박도 커질 것이라며, 미국 소규모 기업들이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어 캐나다에 불리하지만은 않은 협상 환경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취재 : 김수형, 영상편집 : 이승진, 디자인 : 백지혜,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