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6·27대책 두달 안 됐는데…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다시 커져

6·27대책 두달 안 됐는데…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다시 커져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상한을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이 나오고 6주 만에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첫째 주(8월 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는 0.14% 올라 상승률이 직전주(0.12%) 대비 확대됐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는 6·27 대책 발표 직후인 6월 다섯째 주(6월30일 기준) 이후 5주 연속 둔화 양상을 이어가다가 6주 만에 다시 확대됐습니다.

서울 동남권의 경우 서초구(0.21%→0.16%)와 송파구(0.41%→0.38%)에서 상승 둔화세가 계속됐지만, 강남구(0.11%→0.15%)는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특히 강동구(0.07%→0.14%)는 상승 폭이 직전주 대비 2배로 커졌습니다.

강북권에서는 성동구(0.22%→0.33%), 광진구(0.17%→0.24%), 용산구(0.17%→0.22%) 등의 상승 폭 확대가 두드러졌습니다.

부동산원은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반적인 수요는 위축됐다"면서도 "재건축 이슈 단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며 상승 폭을 확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경기도 아파트값은 0.02% 올라 상승률이 직전 한주(0.01%) 대비 소폭 올랐습니다.

지역별로 성남시 분당구(0.04%→0.15%), 수원시 팔달구(0.03%→0.13%), 군포시(0.02%→0.08%), 하남시(0.19%→0.23%), 의왕시(0.02%→0.06%) 등의 상승률 확대가 눈에 띄었습니다.

인천광역시의 아파트값은 0.02% 떨어졌지만, 하락률은 직전주(-0.03%) 대비 소폭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전체 상승률은 0.05%로, 직전주(0.04%) 대비 올라갔습니다 .

정부가 수도권 아파트 수요 억제를 겨냥해 고강도 금융 규제인 6·27대책을 내놓았지만, 거래 위축에도 매매가 상승세는 지속되는 양상입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입주 물량 부족,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매도 의향자가 가격을 내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반면 지방 아파트값은 0.03% 떨어져 직전주(-0.02%) 대비 하락 폭이 확대됐습니다.

지방 아파트값 하락세가 62주째 지속된 가운데 5대 광역시와 8개 도의 가격이 각각 0.03%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세종시 아파트값은 0.09% 올라 직전주(0.04%) 대비 오름폭이 커졌습니다.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은 직전주와 동일한 0.01%를 기록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동일한 0.01% 상승 폭을 유지했습니다.

서울(0.06%→0.05%)의 전셋값 상승 폭은 축소됐으나 수도권(0.01%→0.02%)은 상승 폭이 확대됐습니다.

지방은 직전주와 동일하게 보합(0.00%)을 유지한 가운데, 5대 광역시(0.01%→0.02%)와 세종(0.02%→0.11%)의 상승 폭은 커졌습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6·27대책 이후 서울은 재건축 이슈나 신축 선호가 큰 강남권 한강 변, 경기는 공급 감소와 정비 사업 이슈로 전세 오름세가 동반되는 분당 등지의 가격 상승률이 다시 확대되는 분위기"라며 "올가을 이사철 전월세 가격의 향방과 곧 발표될 공급 대책의 효과가 수도권 주택시장 흐름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