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실이요" 유심 '슥슥'…"수상한 손님" 모텔 가보니

"대실이요" 유심 '슥슥'…"수상한 손님" 모텔 가보니
20대 공무원이 보이스피싱에 속아 모텔에 스스로 감금됐다가, 이를 수상히 여긴 업주의 신고로 금전 피해를 피했습니다.

경기 군포경찰서는 오늘(7일), 지난달 21일 오후 4시 50분쯤 군포의 한 모텔 업주 A 씨가 경찰 직통번호로 "젊은 손님이 혼자 대실하겠다며 휴대전화 두 대에 유심을 갈아 끼우고 있다. 피해자일 수도 있지만, 조직원일까 봐 무섭다"고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출동한 경찰은 모텔에 있던 20대 공무원 B 씨를 확인한 뒤 보이스피싱 피해자임을 파악하고, 즉시 계좌 송금을 차단했습니다.

B 씨는 같은 날 오후 4시쯤, 서울중앙지검 검사를 사칭한 보이스피싱 조직원에게 전화를 받고 "대포통장 사건에 연루됐습니다. 휴대전화를 새로 구입해 가장 가까운 모텔에 투숙하고, 모든 계좌 잔고를 전송하라"는 지시를 받아 모텔로 향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는 이른바 '셀프 감금' 수법으로, 피해자가 스스로 모텔 등에 머물며 외부와 고립된 상태에서 통화 원격제어 등으로 돈을 갈취당하는 신종 범죄입니다.

이 수법은 통장 잔고를 요구할 뿐 아니라, 원격으로 각종 대출을 유도한 뒤 이를 가로채 피해 규모가 크고, 피해자가 고립돼 있어 범인 추적과 피해금 회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B 씨의 휴대전화에는 악성 앱이 설치돼 직접 신고하기 어려운 상태였고, 조직원은 "직장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협박해 B 씨가 지시에 따르게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업주 A 씨는 불안한 표정으로 복도를 서성이던 B 씨가 유심 교체용 클립을 빌려달라고 하자 이상함을 느꼈고, 곧바로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군포경찰서는 최근 '셀프 감금' 수법이 자주 발생하자 지역 숙박업소에 예방 팸플릿을 배포하고, 경찰서 직통번호도 미리 공유한 상태였습니다.

A 씨는 "피해가 의심되자 최대한 빠르게 막아야겠다는 생각에 신고했다"며 "범죄를 막을 수 있어 다행"이라고 말했습니다.

B 씨는 "너무 무서웠는데, 경찰과 업주 A 씨 덕분에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며 감사를 전했습니다.

군포서는 어제(6일), 범죄를 막는 데 기여한 업주 A 씨에게 감사장과 신고 포상금을 전달했습니다.

김평일 군포경찰서장은 "범인 검거 못지않게 피해 예방이 중요한 만큼, 앞으로도 시민들과 긴밀히 협력해 새로운 범행 수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