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50% 관세는 경제적 협박"…트럼프 관세에 인도 야당까지 반발

"50% 관세는 경제적 협박"…트럼프 관세에 인도 야당까지 반발
▲  트럼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에 추가 보복 관세를 예고하자, 인도 정치권 내에서도 반발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인도 제1야당인 인도국민회의(INC) 라훌 간디 전 대표는 오늘(7일) 엑스(X·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트럼프 대통령의 50% 관세는 경제적 협박"이라며 "인도에 불공정한 무역 협정을 강요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습니다.

간디 전 대표는 또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인도 국민의 이익을 벗어나는 것을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그는 미국이 인도에 상호관세 25%를 부과했을 당시에도 "인도 경제를 죽였다"며 모디 총리를 강하게 비판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이유로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비판의 화살을 미국으로 돌린 것으로 보입니다.

간디 전 대표는 자와할랄 네루 초대 총리의 증손자로, 모디 총리와는 정통성과 정책 노선을 두고 대립해 온 인물입니다.

같은 당 소속 샤시 타루르 의원도 "이제 인도는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게 될 것"이라며, "미국 외의 대체 수출 시장을 찾아야 할 때"라고 주장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오늘(7일) 보도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한 분노가 인도 내에서 커지고 있으며, 인도 정부 관계자들 또한 충격과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블룸버그는 또, 기존 25% 관세만으로도 인도의 대미 수출이 약 30% 줄고 국내총생산(GDP)이 0.6% 감소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여기에 추가된 25% 관세로 수출 감소 폭은 최대 60%로, GDP 손실은 0.9%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특히 보석, 직물, 신발, 농산물 등 인도의 노동집약적 산업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은 지난 4월 인도에 상호관세 26%를 부과했고, 이후 5차례에 걸쳐 협상을 벌였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양국은 미국산 농산물과 유제품에 부과되는 관세 인하 문제를 두고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해 미국은 인도와의 무역에서 약 45억 8천만 달러(약 6조 2천3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인도와 러시아 간의 원유 거래를 비판하며, 기존 상호관세율 외에 별도의 제재도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인도는 현재 중국, 미국에 이어 세계 3위의 원유 수입국이며, 러시아산 원유 비중은 전체의 약 38%에 달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