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막뉴스] 스위스 대통령엔 "도둑질" 막말하더니…트럼프, 한국 관료엔 "존경한다" 무슨 일?

이번 무역 협상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중요한 나라여서 예외적으로 장관급 대표단과 직접 협상에 나섰다고 말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늘 SBS 라디오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이 대표단에 한 말을 전했습니다.

[여한구/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 우리가 딜을 다 맞추고 나서 마지막 부분에 트럼프 대통령께서 직접 말씀하셨던 게 보통 대표단을 국가 정상, 대통령이나 국무총리 아니면 직접 만나지는 않는데 한국의 경우에는 굉장히 중요한 국가이고, 또 한국을 굉장히 존경하기 때문에 직접 각료급과 만나서 협상을 한 것이다 그렇게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실제 39% 고율 관세를 부과받은 스위스는 켈러-주터 대통령이 직접 워싱턴까지 날아갔지만,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지도 못하고 빈손으로 돌아갔다고 현지 매체들이 전했습니다.

협상과정에서 두 정상이 통화를 할 때 트럼프 대통령은 400억 달러가 넘는 스위스의 대미 무역 흑자를 지적하며 "도둑질이나 마찬가지"라고 막말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 본부장은 트럼프 1기와 2기의 협상 방식 차이도 언급했습니다.

1기 때는 주로 미 무역대표부(USTR)만 상대하면 됐지만, 지금은 재무부·상무부 등 다양한 채널이 움직이며 예측 가능성이 크게 떨어졌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지금은 문서로 조율하고 나서 정상 발표가 이뤄지는 기존의 룰이 완전히 무너진 상태"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여 본부장은 "한국은 이번 협상에서 미국이 다른 나라에 주는 조건보다 불리하지 않게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여한구/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 반도체나 바이오 부분에 있어서는 어떤 최혜국 대우, 아주 쉽게 말씀드리면 다른 나라에 주는 것과 결코 불리하지 않게 그렇게 주는 걸로 했기 때문에요. 지금 만약에 15%로 최혜국 세율이 정해진다 하면 우리도 15%를 받는 거지요. 앞으로 100%가 되건 200%가 되건 상관없이요.]

[김태현/SBS 라디오 진행자 : 알겠습니다. 어쨌든 우리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반도체가 100% 관세 맞는 일은 없을 것이다 이렇게 이해하면 되는 거지요?]

[여한구/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 그렇습니다.]

여한구 본부장은 "이번 협상으로 소나기는 피했지만, 장마전선은 여전히 깔려 있다"며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AI 등 미래 산업 대비가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취재 : 김수형, 영상편집 : 이승진, 디자인 : 백지혜,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