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 배당 수입 증가에 힘입어 지난 6월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역대 가장 많은 약 143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철강·자동차 등의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뒷걸음치는 등 점차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도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6월 경상수지는 142억 7천만 달러(약 19조 7천700억 원) 흑자로 집계됐습니다.
직전 5월(101억 4천만 달러)이나 작년 6월(131억 달러)보다 많은 역대 최대 기록으로 2000년대 들어 세 번째로 긴 26개월 연속 흑자입니다.
올해 들어 6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493억 7천만 달러)도 지난해 같은 기간(401억 6천만 달러)보다 약 92억 달러 많습니다.
항목별로는 6월 상품수지 흑자(131억 6천만 달러)가 전월(106억 6천만 달러)과 비교해 25억 달러 불었습니다.
2017년 9월(145억 2천만 달러), 2016년 3월(133억 2천만 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많습니다.
수출(603억 7천만 달러)은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품목의 호조가 이어진 데다 의약품 등 비(非) IT 품목 수출도 늘면서 작년 같은 달보다 2.3% 증가했습니다.
특히 통관 기준으로 컴퓨터주변기기(13.6%)·반도체(11.3%)·의약품(51.8%) 등의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반대로 승용차(-0.3%)·석유제품(-0.9%)·철강제품(-2.8%)은 줄었습니다.
지역별로는 EU(14.7%)·동남아(6.0%)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미국(-0.5%)·중국(-2.7%)에서 고전했습니다.
수입(472억 1천만 달러)도 3개월 만에 늘었지만, 작년 같은 달 대비 증가율은 0.7%에 그쳤습니다.
반도체제조장비(38.8%)·반도체(22.7%) 등 자본재가 14.8%, 직접소비재(10.9%)·승용차(7.3%) 등 소비재가 7.6% 각각 불었습니다.
하지만 에너지 가격 하락 등으로 석유제품(-33.1%)·석탄(-25.9%)·원유(-15.2%) 등 원자재 수입은 6.4% 줄었습니다.
서비스수지는 25억 3천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습니다.
적자 규모가 전월(-22억 8천만 달러)이나 작년 같은 달(-16억 4천만 달러)과 비교해 더 커졌습니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10억 1천만 달러)는 입국자 수가 줄면서 적자가 5월(-9억 5천만 달러)보다 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