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구시 노곡동 침수사고 조사단 "직관로 수문 3%만 열려 있었다"

대구시 노곡동 침수사고 조사단 "직관로 수문 3%만 열려 있었다"
▲ 지난달 17일 오후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119구조대가 보트를 타고 인명 수색을 하고 있다. 이날 갑작스러운 폭우로 노곡동 일대가 침수됐다.

지난달 집중호우 속에 발생한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 사고의 주원인은 마을을 관통하는 직관로 수문이 고작 3% 정도만 열려 있었기 때문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배수시설 관리가 이원화된 데다 제진기 등 정상 작동을 하지 않았던 시설도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총체적인 인재로 지적됐습니다.

대구시는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조사단을 꾸려 2주간 조사한 결과 노곡동 침수 사고의 주요 원인이 이같이 확인됐다고 오늘(4일) 밝혔습니다.

시가 직접 관리하는 직관로 수문은 평상시와 강우 초기에 마을 빗물을 금호강으로 직배수하기 위해 100% 개방돼 있어야 하지만 당시 수문이 고장으로 인해 임시 조치로 3.18%(전체 2.5m 높이 수문 중 7.95㎝)정도만 열려 있어 직관로가 배수 능력을 상실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직관로 수문은 지난 3월에 이미 고장 났으나 수리에 시간이 걸린다는 이유로 강봉으로 임시로 고정해둔 상태에서 더 내려가 지난달 11일쯤 이처럼 거의 폐쇄 상태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배수로 제진기(배수펌프에 유입되는 쓰레기 등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기기)가 막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도 한 원인으로 파악됐습니다.

직관로 수문 고장으로 직관로를 통해 배수돼야 할 물이 일시에 제진기 입구로 유입돼 제진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했고, 제진기가 초기부터 즉각 가동되지 않은 것으로도 조사됐습니다.

이와 함께 고지대에 터널 형태로 만들어진 고지배수로 입구의 침사지 수문이 닫혀 있지 않은 점도 원인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는 고지배수로 침사지 수문 운영 매뉴얼상 문제로, 관할 기관인 북구가 침사지 수문 개폐 기준을 금호강 수위 조건(21m)에 근거를 둠으로써 고지배수로 본래 기능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직관로 수문 외에도 게이트펌프(수문에 달린 펌프) 1개가 고장으로 철거돼 있는 등 시설물 고장 시 유지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점도 침수사고 원인으로 조사단은 분석했습니다.

이 밖에도 빗물 펌프장과 고지배수로 등 노곡동 침수피해방지를 위해 설치한 시설물 관리 주체가 대구시와 대구 북구로 나뉘어져 일원화되지 못해 운영 관리상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조사단이 노곡동과 유사한 고지배수로와 펌프장을 운영 중인 전국 39개 고지배수로 시설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구 관할을 제외한 나머지 전국 37개 시설은 모두 기초자치단체로 관리가 일원화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노곡동 침수사고 조사단 안승섭 단장은 원인조사와 관련해 "노곡동 방재시설 운영 상황 등을 듣고 기관에서 제출한 자료 분석과 기술 검토, 방재시설 전반에 대한 현장 조사, 데이터 기반 오류 검증과 당시 상황 시뮬레이션 등을 거쳤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번 침수 사고의 결정적 원인에 대해 "배수시설 관할 기관 간 의사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은 점과 관리체계가 일원화되지 않은 문제가 가장 크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습니다.

조사단은 향후 태풍이나 집중호우에 대비해 배수 시설물 긴급안전 점검, 산불 지역 등의 부유물 대량 유입 차단시설 설치, 현재 1명이 근무하는 펌프장 운영체계 개선 등을 단기 대책으로 제시했습니다.

또 중장기적으로 침사지 우수 흐름 개선대책 수립, 노곡동 배수시설 운영관리 체계 일원화, 우회 배수시설 설치 등 방재시스템 보강·개선, 방재시설 통합관제시스템 체계화 등을 제안했습니다.

노곡동에서는 지난 달 17일 시간당 최대 48.5㎜의 비가 내린 가운데 오후 2시 17분 침수가 발생하면서 사업장 20곳, 주택 4채, 자동차 40대, 이륜차 1대가 물에 잠겼고 주민 26명이 구조 당국 구명보트 등을 이용해 대피했습니다.

금호강변 저지대인 노곡동은 앞서 2010년에도 배수시설 결함 등으로 2차례 침수 피해를 겪어 인재가 잇따르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한편 대구시는 이번 노곡동 침수 사고를 계기로 배수시설 관리 매뉴얼을 정비하고 내년 우기 전까지 배수시설 관리 체계를 일원화할 방침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