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사병 진단에 입원비 보장…'기후보험' 어디까지 왔나?

<앵커>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온열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진단비를 '기후 보험'으로 지급하는 지자체도 있습니다. 날로 극심해지는 이상 기후로 각종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위한 보험인데요.

이 기후 보험 논의, 어디까지 왔는지 노동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작렬하는 태양 아래 비지땀이 흘러도 농부는 수확을 멈출 수 없습니다.

지난달부터는 폭염을 피해 오전에만 일했지만 그래도 탈이 나고 말았습니다.

[이복희/농민 : 조금 남은 거, 다 작업을 마무리해야겠다고 그 잠깐 사이에 땀을 너무 많이 흘려서 그런지 어지럽고 구토가 나올 거 같고….]

병원 진단비는 경기도가 가입한 도민 단체 상해보험에서 받기로 했습니다.

예산 34억 원으로 도민 모두를 수익자로 해 온열이나 한랭질환 진단비를 보장하고, 기상특보 상황에서 당한 사고에 위로금을 지급하는 '기후 보험'입니다.

취약계층은 병원을 오가는 교통비도 지원합니다.

[박대근/경기도청 환경보건안전과장 : 예측 불가능한 기후위기에 대한 선제 대응으로서 건강 피해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폭염과 폭우 등 이상 기후 현상이 잦아지면서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기후 보험' 도입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배달 기사나 건설 일용직같이 기후에 따라 소득도 영향받는 야외 노동자나, 노인과 어린이처럼 자기 스스로 보호하기 어려운 계층에게 사회안전망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근로소득 상실 같은 간접 손해는 기후와 인과관계 규명이 어려워 보험사 자체 상품 개발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남상욱/서원대 경영학부 교수 : 손해가 얼마 있느냐, 그게 '실손보상의 원칙'인데,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보험사들은 취급하지 않으려고 하겠죠. 위험이 너무 크면.]

이 때문에 최근에는 외국처럼 기온이나 강수량이 특정 기준에 도달하면 손실 입증 없이도 자동으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지수형 보험'을 개발하고,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정부나 지자체가 가입을 지원해 주자는 목소리가 큽니다.

개발이 이뤄져도 소비자에게는 생소한 만큼 보험금 지급 조건 등을 정확히 설명하는 등 불완전 판매를 예방하는 것도 과제입니다.

(영상취재 : 오영춘, 영상편집 : 이상민, 디자인 : 서승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