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KT에서 지난해 10월부터 단행된 구조조정 이후 직원 5명이 잇따라 숨지자 KT 노조가 이를 "사회적 타살"로 규정하며 정부의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산재예방TF 위원으로 활동 중인 이훈기 의원이 구조조정 강제 배치와 차별 인사를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 의원은 오늘(1일) 오후 3시,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KT에서 구조조정 이후 반복되고 있는 노동자들의 연이은 죽음을 막아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의원은 KT가 지난해 10월, 5천8백여 명을 대상으로 희망퇴직과 자회사 전출 등 구조조정을 시행한 걸 언급하며 그 이후 오늘까지 직원 5명이 사망했다고 말했습니다.
구조조정 다음 달인 지난해 11월 명예퇴직자 한 명이 심장마비로 숨진 것을 비롯해 지난 1월과 지난 5월, 지난 6월 잇따라 직원이 극단적 선택을 한 데 이어 어제인 지난달 31일 한 직원이 근무 중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다가 숨졌다고 이 의원은 설명했습니다.
KT 노조는 성명을 내고 "토털영업TF 소속 직원이 7월 31일 심장 이상 증세로 병원에 이송됐지만 끝내 숨졌다"며 "이로써 2024년 대규모 구조조정 이후 숨진 직원은 총 5명에 이른다"고 했습니다.
이 의원은 "이는 결코 개인적 불행이 아니다"라며 "강압적 구조조정의 결과"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KT 김영섭 대표는 분명 작년 10월의 국정감사에서 본 의원의 지적에 구조조정은 AI 도입에 따른 재편이라면서 강압적이고 임의적인 구조조정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며 "그 결과가 5명의 사망이냐"라고 꼬집었습니다.
이 의원은 고용노동부가 즉각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해 전모를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 의원은 "기업의 이윤이 노동자의 생명과 존엄보다 앞설 수 없다"며 "끝까지 감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SPC 노동자 사망 사태에 대해 현장을 직접 방문해 질책하고 노동 강도 문제도 따져 물은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