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한국 상호관세 예고로 인한 불확실성 속에서도 한국의 7월 수출이 작년보다 6% 가까이 증가하면서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 수출액이 역대 7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자동차 수출은 관세 영향으로 주력 시장인 대미 수출이 부진했지만 유럽연합(EU) 등 다른 지역으로의 수출 호조 덕분에 두 달 연속 수출 증가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다만 당초 8월 1일로 예고된 상호관세와 조만간 부과가 전망된 반도체 등 품목 관세를 피하기 위해 상품을 미리 보내는 '밀어내기' 물량도 포함된 것으로 보여 미국발 통상 불확실성에 따른 한국의 수출 영향은 향후 점진적으로 구체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오늘(1일) 발표한 7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608억 2천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5.9% 늘었습니다.
월별 수출은 증가 흐름을 유지하다 지난 5월 -1.3%를 기록했으나 6월(4.3%) 곧바로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15대 주력 수출 품목 가운데 반도체, 자동차, 선박 3대 품목 수출이 증가하며 수출 호조를 이끌었습니다.
반도체 7월 수출은 147억1천만 달러로 작년보다 31.6% 증가하며 역대 7월 중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자동차 수출은 미국의 25% 관세 부과 여파에도 총 58억3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작년 같은 달보다 8.8% 증가했습니다.
자동차 수출은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증가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차 유형별로는 하이브리드차와 내연기관차 수출이 각각 20.3%, 7.3% 증가했습니다.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 급감 여파로 순수전기차 수출은 4.1% 감소했습니다.
미국의 경우 관세 부과와 이에 대응한 한국 자동차 업체들의 현지 생산 확대의 영향으로 특히 순수전기차 수출이 97.7% 급감했습니다.
다만 하이브리드차와 내연기관차 수출이 이를 상쇄해 미국으로의 전체 자동차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1.7% 감소하는 보합 수준에서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럽과 CIS 지역으로의 자동차 수출은 각각 50.6%, 55.1% 증가했습니다.
선박 수출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출 물량이 확대되면서 107.6% 증가한 22억4천만 달러를 기록해 5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반면 디스플레이(-9.0%), 무선통신기기(-17.5%), 컴퓨터(-18.5%), 자동차 부품(-7.2%), 일반기계(-17.2%), 석유제품(-6.3%), 석유화학(-10.1%), 바이오헬스(-4.9%), 가전(-12.0%), 섬유(-5.4%), 철강(-2.9%), 이차전지(-21.1%) 등 다수 품목 수출은 감소했습니다.
국가별 수출을 보면,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을 받는 대미 수출도 7월 103억3천만 달러로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세 여파로 철강(-16.9%)·자동차부품(-7.3%) 등 다수 품목 수출이 감소했지만 반도체(88.2%) 등 정보기술(IT) 품목과 화장품·전기기기 등 15대 외 품목의 수출 호조 덕분에 전체 대미 수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증가했습니다.
최대 교역국인 대중국 수출은 주요 수출품인 석유화학 및 무선통신기기 수출 둔화 영향 속에서 110억 5천만 달러로 3.0% 감소했습니다.
대중 반도체 수출은 1.2% 증가해 강보합 수준을 유지했지만 대중국 주력 수출품인 무선통신기기(부품 포함) 수출이 40.5% 감소하면서 전체 수출 둔화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아세안 수출은 반도체 수출 호조 속에서 10.1% 증가한 109억 1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대아세안 반도체 수출은 작년 동기의 1.5배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
한국의 7월 수입액은 542억1천만 달러로 작년보다 0.7% 증가했습니다.
이로써 7월 무역수지는 66억1천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습니다.
월간 무역수지는 올해 1월 한때 적자를 기록한 것을 빼면 2023년 6월 이후 계속 흑자를 유지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