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숨 돌린 자동차 업계…일본·EU와 동일선 '경쟁'

한숨 돌린 자동차 업계…일본·EU와 동일선 '경쟁'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에 대해 15%의 품목 관세를 적용하는 내용의 무역 협상 결과를 발표하자 한국 자동차 업계는 현행 25%의 고율 관세율이 낮춰졌다는 점에서 일단은 안도하게 됐습니다.

다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지난 10년 가까이 미국에 자동차를 무관세로 수출해 온 한국이 그간 2.5%의 관세를 적용받던 일본, 유럽연합(EU)과 같은 관세율을 부담해야 하게 되면서 이제 동일 선상에서 경쟁하게 됐습니다.

한국 차에 부과될 15% 관세율은 앞서 미국이 일본, EU와 합의한 관세율과 같습니다.

이날 협상 결과를 두고 현대차·기아는 "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 방안을 추진하는 동시에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기술 혁신 등을 통해 내실을 더욱 다져 나갈 계획"이라며 "대미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온 힘을 다해주신 정부 각 부처와 국회의 헌신적 노력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에 국내 생산분 90% 가까이 수출하는 제너럴모터스 한국사업장(한국GM)을 비롯한 자동차업계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최대 경쟁국인 일본, EU에 비교해 차별은 없다는 점에서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도요타, 혼다를 비롯한 일본계 7개 브랜드의 판매량은 588만 대(점유율 37.1%)였고 독일 3사를 포함한 유럽계 브랜드는 162만 대(10.3%)를 판매했습니다.

현대차·기아는 총 170만 대를 판매해 점유율 10.8%를 차지했습니다.

일단 이번 관세율 하향 조치는 현대차·기아의 수익성 개선에 다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대차·기아가 지난 4월부터 25%의 자동차 관세로 2분기 영업이익에서 본 손해는 총 1조 6천142억 원으로, 이로 인해 현대차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보다 15.8%, 기아는 24.1% 감소했습니다.

합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9.6% 줄었습니다.

다만 일본과 EU가 적용받는 15% 관세는 기존 2.5%에 자동차 품목 관세 12.5%를 더한 수치라는 점에서 한국도 기준점 격인 12.5%까지 관세를 내리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 분위기입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관세 협상 관련 브리핑에서 한국 측 협상단이 마지막까지 12.5%를 주장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15%를 관철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