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의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고 밝힌 가운데, 주요 외신들은 이번 협상이 가져올 경제적 효과와 구조적 한계에 대해 다양한 평가를 내놨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제품에 부과할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는 주요 내용을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이 미국의 관세 압박을 피하면서도 농산물 추가 개방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의 말을 인용해 한국은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고려해 쌀과 소고기 시장은 개방하지 않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미국의 강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나온 결정이라고 설명돼 있습니다.
또, 이번 협정에 포함된 투자는 대부분 대출과 보증으로 구성되며, 직접 투자 비율은 낮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미 미국 내에 있는 한국 제조업 투자도 이번 발표에 포함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악시오스는 이번 협정이 일본·EU와 유사한 구조라고 전하면서도, 자동차 산업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투자 펀드의 운용 방식이 불투명해 실제로 누가 이익을 보게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국이 무역 불확실성을 줄이고 일본, EU와 동등한 조건을 확보한 것은 성과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한미 자유무역협정으로 누리던 무관세 혜택은 사라져 과거의 우위를 잃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로이터는 이번 합의가 정식 협정이 아닌 프레임워크 수준이라고 전했습니다.
투자와 에너지 구매 규모는 공개됐지만, 세부 조율과 이행은 앞으로의 과제라고 분석했습니다.
협정의 실질적인 효과는 향후 투자 집행 방식과 미국 내 정책 변화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외신들은 이번 합의가 끝이 아니라 시작이며, 한국에 남은 과제도 만만치 않다고 전했습니다.
(취재 : 김수형, 영상편집 : 소지혜, 디자인 : 육도현,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