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캄차카반도 강진으로 러시아 쿠릴 열도 파라무시르 섬의 세베로쿠릴스크 해안 지역을 강타한 쓰나미
러시아 극동지역 캄차카 반도에 규모 8.8의 강진이 발생했지만 예상보다 쓰나미가 잠잠해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정확한 분석에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쓰나미를 유발하는 해저 산사태가 없었거나 단층 이동이 다른 강진과 비교해 적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30일 보도했습니다.
국제측지 및 지구물리연맹(IUGG) 국제 쓰나미 위원회 부위원장인 알렉산더 라비노비치가 초기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번 캄차카 지진 당시 근처 쓰나미 높이는 4.5m 정도였습니다.
일본 주변의 쓰나미 파고는 0.3∼0.9m였으며 하와이 주변에는 1.5m∼1.8m 높이의 쓰나미가 발생했습니다.
지난 2011년 동일본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지진은 지역적으로는 최대 30m에 달하는 쓰나미를 유발한 바 있습니다.
아울러 이번 지진이 발생한 캄차카반도에서 지난 1952년 규모 9.0 지진이 있었는데 당시에는 쓰나미가 하와이까지 강타했습니다.
지진 규모가 0.1 커지면 지진 에너지는 1.4배나 커지기 때문에 이번 지진을 규모 9.0을 넘겼던 과거 지진 사례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러시아 쓰나미 전문가 비아체슬라프 구시아코프는 이번 쓰나미 여파가 적었던 것에 의문을 표하며 대규모 해저 산사태가 부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해저 산사태로 인한 퇴적물과 암석의 수중 이동은 쓰나미 에너지를 최대 90%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 같은 현상이 적거나 약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쓰나미의 또 다른 원인 중 하나인 단층 이동의 변화가 적었을 수도 있습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모델링 자료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약 480㎞에 달하는 단층선을 따라 지반이 6∼9m 정도 이동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는 비슷한 길이의 단층선을 따라 지반이 최대 45m 이동했고 이 때문에 '괴물 쓰나미'가 발생했습니다.
미국 오리건 대학교 캐스케이디아 지역 지진 과학 센터 디에로 멜가 소장은 "이런 세부적 요소들이 쓰나미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멜가 소장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가 치명적이지 않다고 말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지적했습니다.
사람들이 각종 소셜미디어를 통한 재난 생중계에 익숙해졌지만 인구 밀도가 낮은 캄차카반도 특성상 쓰나미 높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멜가 소장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위성 자료 검토와 현장 조사 등이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