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현지시간 30일 행정명령을 통해, 8월 6일부터 브라질에 기본 관세 10%에 추가 관세 40%를 얹어, 총 5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행정명령 서명 이유 중 하나로 브라질 정부의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과 지지자 수천 명에 대한 정치적 탄압 등을 제시했습니다.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은 룰라 대통령에게 대선에 패배한 뒤, 이에 불복해 친위 쿠데타를 일으키려 했다는 이유로 현재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 폭탄이 현실화하자, 브라질 정부는 보복 관세 부과를 포함한 반격에 나설 것을 시사했습니다.
룰라 브라질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에 미국이 관세를 정당화하기 위해 정치적 논리를 사용하고 있다며, 브라질의 국권과 역사 깊은 양국 관계를 침해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미국과 협상할 준비가 돼 있는 한편 국가 방어 수단을 포기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룰라 대통령이 언급한 '국가 방어 수단'은 지난 4월 국회를 통과한 경제호혜주의법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맞불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법리적 근거를 담은 해당 법안은, 지난 14일 룰라 대통령의 서명과 15일 관보 게시로 효력을 얻었다고 브라질 당국은 설명했습니다.
룰라 대통령은 각종 인터뷰와 대중 연설에서 트럼프 정부에 대한 분노를 숨기지 않고 있습니다.
앞서 뉴욕타임스와 인터뷰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무기 삼아 2억 여 명의 브라질 국민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사안이 심각하다고 해서 끌려다니진 않을 것"이라며, 미국 수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검토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 취재: 정혜경 / 영상편집: 이승진 / 디자인: 임도희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