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캐나다 "팔레스타인 주권국 인정할 의도 있다"…G7 중 3번째

캐나다 "팔레스타인 주권국 인정할 의도 있다"…G7 중 3번째
▲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기자회견 하는 카니 캐나다 총리

캐나다가 오는 9월 유엔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려는 일부 주요 7개국, G7 행렬에 동참할 방침임을 밝혔습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0일(현지시간) 오타와 연방의회에서 회견을 열고 "캐나다는 9월 유엔총회 80차 회기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의도가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카니 총리는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앞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개혁이 전제돼야 한다며 여기에는 '마무드 아바스 자치정부 수반의 근본적인 통치체제 개혁 약속과 2026년 하마스가 배제된 총선 실시, 팔레스타인 국가의 비무장화 약속이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카니 총리는 "오늘 아바스 수반과 장시간 통화해 그의 약속을 재확인했다"며 팔레스타인이 강력한 민주주의 통치체제를 가질 수 있도록 캐나다가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집계에 따르면 현재 팔레스타인을 주권국가로 인정하는 나라는 바티칸 교황청을 포함해 193개 유엔 회원국 147개국입니다.

가자 전쟁 발발 이후 가자지구에 인도주의적 위기가 심화하면서 지난해 스페인, 아일랜드,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등 10개 나라가 이 대열에 추가로 합류했습니다.

팔레스타인은 2012년 유엔 총회에서 옵서버 단체에서 옵서버 국가로 승격해 현재까지 이 지위를 유지해오고 있습니다.

유엔 정회원 지위를 얻기 위해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결을 거쳐야 하지만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미국이 지난 2011년과 지난해 4월 거부권을 행사해 정회원 승격이 부결됐습니다.

이스라엘의 맹방인 미국을 비롯해 한국, 일본과 서방 주요국 다수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아 왔습니다.

그러나 가자지구에서 인도주의적 참상이 커지고 이 지역 평화 정착을 위해 두 국가 해법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최근 프랑스를 필두로 서방국에서 팔레스타인를 국가로 인정하겠다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 24일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는 의향을 밝혔고,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도 지난 29일 이스라엘이 오는 9월까지 가자지구 휴전에 동의하지 않으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한편 카니 총리는 회견에서 미국과의 무역협상 진전 상황에 대해 "우리는 캐나다 국민을 위해 최선의 협상을 추구하고 있지만 아직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며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협상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