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미국의 관세협상이 타결된 31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 예고로 촉발된 한미 관세협상이 오늘(31일) 타결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 달러(약 487조 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예고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로 한국이 1천억 달러 상당의 액화천연가스(LNG)나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큰 액수의 돈을 투자하는 데 합의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산 자동차에 부과되는 품목관세는 25%에서 15%로 내려가지만,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품목관세는 50%가 유지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 15%는 앞서 미국이 일본, 유럽연합(EU)과 합의한 상호관세율과 같습니다.
일본, EU 역시 자동차 관세는 15%로 내렸지만, 철강·알루미늄 관세는 낮추지 못했습니다.
다음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부터 한미 관세 협상 주요 일지입니다.
▲ 1월 20일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 2월 10일 = 트럼프 대통령, 철강·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 예고.
▲ 2월 13일 = 트럼프 대통령, 4월 2일부터 상호관세 부과 예고.
▲ 2월 27일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미,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등 면담. 관세 조치 면제 요청.
▲ 3월 12일 = 미국, 전 세계 철강·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 발효.
▲ 3월 21일 = 안덕근 장관 방미. 러트닉 장관 등 면담. 관세 등 현안 논의.
▲ 3월 26일 = 트럼프 대통령, 외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4월 3일부터 25% 관세 부과 발표.
▲ 3월 30일 = 트럼프 대통령, 4월 2일부터 무역 불균형이 가장 큰 12개 국가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 방침 천명.
▲ 4월 8일 =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 면담.
▲ 4월 24일 = 최상목 부총리·안덕근 장관,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그리어 USTR 대표와 '2+2 통상 협의' ▲ 5월 16일 = 안덕근 장관, 그리어 대표와 제주서 통상장관 협의.
▲ 6월 24일 =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방미. 러트닉 장관·그리어 대표 등 면담. 상호관세·품목관세 면제 요구.
▲ 7월 8일 = 여한구 본부장 방미. 러트닉 장관·그리어 대표 등 면담. 산업 협력 방안 및 관세 등 현안 논의.
▲ 7월 8일 = 트럼프 대통령 한국에 서한. 8월 1일부터 상호관세 25% 부과 예정 적시.
▲ 7월 23일 = 여한구 본부장 방미. 그리어 대표 등 면담.
▲ 7월 24일 = 김정관 산업부 장관 방미. 여한구 본부장과 러트닉 장관 만나 관세 협상.
▲ 7월 25일 = 김정관 장관·여한구 본부장, 러트닉 장관과 뉴욕서 협상.
▲ 7월 27일 = 김정관 장관·여한구 본부장, 스코틀랜드 찾아가 러트닉 장관과 관세 협상.
▲ 7월 29일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김 장관·여 본부장, 러트닉 장관과 협상.
▲ 7월 30일 = 구윤철 부총리 등 한국 협상단, 러트닉 장관·그리어 대표와 추가 협상.
▲ 7월 30일 = 구윤철 부총리 등 한국 협상단, 백악관서 트럼프 대통령 면담. 관세 협상 타결.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