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4대 금융 회수 포기한 대출 2조 7천억…1년 새 25% 급증

은행
4대 금융그룹이 회수를 포기한 대출 채권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오늘(31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2분기 말 '추정손실'은 총 2조7천494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인 지난해 2분기 말의 2조1천981억 원보다 25.1% 증가했고 이 중 올해 증가분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말(2조2천65억 원) 대비 증가율이 24.6%입니다.

다만, 올해 1분기 말(2조8천329억 원)보다는 3%가량 줄었습니다.

금융그룹이 보유한 대출 채권은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가지로 구분해 건전성을 관리합니다.

이 중 고정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대출이며, 고정이하여신, 즉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을 아울러 부실채권(NPL)으로 분류합니다.

건전성이 가장 낮은 단계인 추정손실은 ▲ 채무 상환능력의 심각한 악화로 회수 불능이 확실해 손실 처리가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되는 거래처에 대한 자산 중 회수 예상 가액 초과분 ▲ 12개월 이상 연체대출금을 보유하고 있는 거래처에 대한 자산 중 회수 예상 가액 초과분 ▲ 최종부도 발생, 청산·파산절차 진행 또는 폐업 등의 사유로 채권 회수에 심각한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거래처에 대한 자산 중 회수 예상 가액 초과분 등에 해당하는 자산입니다.

사실상 회수를 포기한 것입니다.

회사별로 보면, KB금융의 추정손실 규모는 지난해 2분기 말 4천868억 원에서 올해 2분기 말 5천567억 원으로 14.4% 증가했습니다.

신한금융은 8천613억 원에서 1조327억 원으로 20% 가까이 늘어 2014년 3분기 말(1조1천167억 원) 이후 11년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

하나금융은 3천180억 원에서 4천329억 원으로 36.1%, 우리금융은 5천320억 원에서 7천271억 원으로 36.7% 각각 늘어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올해 들어 금융그룹들이 채권 회수를 대규모로 포기한 것은 그만큼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악화했다는 의미입니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은 지난달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은행 고정이하여신의 신규 발생 규모가 확대됐지만, 정리 규모는 소폭 축소됐다"며 "자산건전성이 저하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