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작년 하수 처리에 원유 101만 7천t 태운 에너지 사용

작년 하수 처리에 원유 101만 7천t 태운 에너지 사용
▲ 충북 청주시 하수처리시설

하수를 처리하는 데 드는 에너지가 원유 100만t을 태워야 발생하는 양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경부는 2024년 하수도 통계를 31일 홈페이지에 공개한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작년 기준 가동 중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은 총 4천496곳이었습니다.

하루 처리할 수 있는 하수가 500t 이상인 시설은 724곳으로 이 시설들이 하수 대부분을 처리했습니다.

하수관로 총길이는 17만 3천717㎞로, 하수도 보급률(총인구 대비 하수처리구역 내 인구)은 95.6%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올랐습니다.

작년 하수처리시설에서 사용한 에너지는 101만 7천TOE(석유환산톤)이었습니다.

TOE는 원유 1t을 연소했을 때 나오는 에너지양을 말합니다.

미생물이 하수 찌꺼기를 소화하면서 발생하는 메탄 등을 활용해 하수처리시설에서 자체 생산해 사용한 에너지양은 19만TOE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하수처리시설 에너지자립률은 18.7%로 계산됐습니다.

에너지자립률은 전년보다 2.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하수 처리비는 1t당 평균 1천537.2원으로 전년 대비 3.3% 올랐습니다.

물가 상승이 하수 처리비에도 영향을 준 것입니다.

하수도 요금은 1t당 평균 696.2원이었습니다.

하수 처리비의 45.3%(요금 현실화율)만 요금으로 내는 셈입니다.

17개 시도 가운데 하수도 요금이 가장 비싼 지역은 1t당 평균 1천106.6원인 세종이고 가장 싼 지역은 489.5원인 경북이었습니다.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98%인 대전으로 사실상 하수를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전부 요금으로 부담하고 있었습니다.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으로 22.9%에 그쳤습니다.

(사진=청주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