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머 영국 총리와 트럼프 미국 대통령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중동 평화 해법과 맞물린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놓고 그간 선을 긋는 입장이었으나 정치권 압박 속에 공식 지지를 표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29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전날 영국 정부 고위 당국자 두 명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전쟁 중인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연일 타격하면서 기아 위기가 극심해지고 민간인 사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데 따라 영국 집권 노동당 안팎에서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지지하는 여론이 고조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이러한 입장 선회는 앞서 프랑스가 서방 주요국 중 처음으로 오는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밝히면서 영국에서도 이에 동참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진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영국 정치권에서는 노동당을 비롯해 9개 정당 소속 의원 250명이 스타머 총리와 데이비드 래미 외무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이달 28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두 국가 해법' 관련 회의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의원들은 밸푸어 선언을 작성하고 팔레스타인을 위임통치한 영국이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정부에 '결자해지'를 요구했습니다.
밸푸어 선언은 1917년 아서 밸푸어 당시 영국 외무장관이 유대인의 대표 격이었던 월터 로스차일드에게 보낸 서한 형식의 발표로, 영국 내각이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을 위한 민족적 고향' 수립을 지지하고 노력한다는 약속을 담은 선언입니다.
벨푸어 선언은 이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씨앗으로 지목돼 왔습니다.
영국 고위 당국자들은 스타머 총리도 오랜 기간 독립 국가로서의 팔레스타인을 지지해 왔지만, 국가 인정이 가자지구 상황을 개선하지도 못하면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의 휴전 협상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 수 있는 '보여주기식'이라는 이유로 거부해 왔다고 전했습니다.
전날 스코틀랜드에서 스타머 총리와 회동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여지를 열어놓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