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들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첫 소환조사에 불응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강제수사를 언급하며 출석을 압박했습니다.
문홍주 특검보는 오늘(29일)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에게 오늘 오전 10시 피의자로 출석하라고 통보했으나 아무런 사유를 밝히지 않은 채 출석하지 않았다"며 "내일(30일) 오전 10시에 출석하라는 출석요구서를 서울구치소장에게 다시 송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만일 이마저 응하지 않는다면 체포영장 청구 등 강제수사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문 특검보는 체포영장 청구와 관련해 "출석 불응 횟수는 중요 요건이 아니다. 대부분 2회 내지 3회 불응 우려가 있을 시 청구한다"면서 "내일도 출석하지 않으면 출석 불응 우려가 크다고 생각한다"고 했습니다.
특검팀은 만약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발부되면 특검보와 검사를 1명씩 구치소에 투입해 교도관들과 함께 집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오늘 오전 10시로 예정됐던 민중기 특검팀 첫 소환조사에 불출석했습니다.
그는 지난 10일 내란 특검에 구속돼 서울구치소에 수용돼 있습니다.
변호인단은 윤 전 대통령의 지병인 당뇨가 악화하고 간 수치가 상승한 데 이어 평소 앓던 눈병이 심해져 최근 주치의로부터 실명 위험 소견을 받을 정도로 건강이 나쁜 상태라는 입장입니다.
문 특검보는 이와 관련해 "아직 구치소로부터 건강과 관련해 어떠한 소식도 전해 들은 바 없고, 내란 특검에서 소환했을 때도 건강에 큰 이상이 없었던 것으로 안다"며 출석을 거듭 압박했습니다.
현재로선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방문 조사 계획도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을 대면조사 없이 바로 재판에 넘기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 특검보는 관련 질의에 "기소 여부는 다른 문제"라며 "(수사팀에서) 좀 더 여유를 갖고 생각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앞서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외환 사태를 수사하는 내란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출정 조사 요구에 계속 불응하자 지난 19일 곧바로 기소한 바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특검 출석은 물론 내란 재판도 3주째 출석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