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인공 구름을 만들어 지구 온난화를 줄이려는 기후 실험이 시민들과 시 의회의 반발로 중단됐습니다.
구름 실험은 바닷물 입자를 분사해 구름을 만들어 햇빛을 차단하고 지구 온도를 낮추는 방식입니다.
지난해 4월, 퇴역 항공모함에서 워싱턴대 연구팀이 관련 장비 실험을 진행했는데 실험이 사전 고지 없이 진행된 사실이 알려져, 알라메다 시 의회가 중단을 요청했고 결국 실험은 20분 만에 중단됐습니다.
현지 언론 보도 뒤 알라메다 시 의회는 정식 논의에 나섰는데 만장일치로 실험 중단이 결정됐습니다.
실험은 워싱턴대 연구팀은 비영리단체 실버라이닝, SRI 인터내셔널과 함께 '해양 구름 밝히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됐습니다.
장비 실험은 비공개로 진행됐는데 여기에 "시민을 겁먹게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내부 문건까지 확인돼 논란이 커졌습니다.
이후 공개된 연구 계획에는 푸에르토리코 면적에 해당하는 약 1만 제곱 킬로미터 서울의 약 17배 정도 크기의 대형 해상 실험 계획도 포함돼 있었습니다.
해당 실험은 위성으로도 구름 변화를 관측할 수 있을 정도로 큰 규모였고, 여기에 수 십억 원의 민간 자금은 물론 연방정부 자산까지 활용할 예정이었습니다.
이후 정치권까지도 논란이 이어져 플로리다주는 대기 중 화학물질 분사를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텍사스에서는 기후 조작이 홍수 원인이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형사처벌 법안까지 발의됐습니다.
앞서 비허가 비공개 실험이 진행된 알라메다시의 시장은 "이 연구가 단순한 기술 시험을 넘어설 수 있어 우려된다"며 향후 실험 불허 방침을 밝혔습니다.
[마릴린 애시크래프트/알라메다 시장 : 이 실험 분야는 예상치 못한 부작용과 세계 여러 지역의 우려로 인해 논란의 여지가 매우 큽니다.] 앞서 중국에선 인공 강우 시도 후 강풍 피해가 잇따르며 '인공재난'을 일으킨다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미국 환경보호청이 "독성 물질로 대중을 통제한다"는 음모론에 대해 공식 반박에 나섰지만 예측하기 어려운 기상이변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 속에 기후 조작 기술의 안전성과 투명성을 둘러싼 논쟁은 더 거세질 전망입니다.
(구성 : 최석훈(인턴), 영상편집 : 고수연, 디자인 : 백지혜,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