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상승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이 통계청 통계에서도 확인된 셈입니다.
저출생 고령화의 영향으로 1인 독거노인 가구는 늘었지만 아이를 키우는 가구는 줄었습니다.
통계청은 오늘(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전국의 주택 수는 1천987만 3천 호로 전년 대비 32만 6천 호(1.7%) 늘었습니다.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연평균 주택 증가율은 1995년 5.4%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둔화하고 있다"며 "최근 5년간 평균 증가율은 1.9%이고, 작년 주택 증가율은 전년도에 비해 0.4%포인트(p) 감소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 주택의 46.7%(929만 호)는 수도권에 몰려 있었습니다.
서울(0.5%)이 전국에서 전년대비 증가율이 가장 낮았습니다.
이는 통계청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60년 이후 6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서울의 주택 증가율은 2020년 2.1% 이후 2021년 1.8%, 2022년 1.4%, 2023년 1.4% 등 내리막을 걷고 있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1년 이후 서울의 준공실적이 계속 감소한 결과"라고 해석했습니다.
주택 공급 부족은 서울 집값 상승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됩니다.
새 정부는 부동산 공급대책을 준비 중입니다.
주택 종류별 비율을 보면 아파트(65.3%), 단독주택(19.3%), 연립·다세대(14.3%) 등 순이었습니다.
아파트는 전년보다 2.7% 증가하며 가장 증가 폭이 컸습니다.
그만큼 선호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건축된 지 20년 이상된 주택은 전체의 54.9%였고, 30년 이상 된 주택은 28.0%로 집계됐습니다.
주택당 평균 거주인수는 2.6명으로, 5년 전과 비교하면 0.3명 줄었습니다.
미거주 주택(빈집)은 전년보다 4.2% 늘어난 159만 9천 호였습니다.
전체 주택 중 빈집 비율은 8.0%로 전년보다 0.2%p 늘었습니다.
반지하·지하가 있는 주택은 26만 1천 호로 집계됐습니다.
옥탑이 있는 주택은 3만 4천 호였습니다.
각각 총 주택의 1.3%·0.2%를 차지했습니다.
반지하·지하와 옥탑 주택 조사는 처음 이뤄졌습니다.
반지하·지하에 거주하는 가구는 39만 8천 가구(1.8%)였고, 옥탑에 거주하는 가구는 3만 6천 가구(0.2%)였습니다.
(사진=통계청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