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65세 넘는 노인 1천만 넘어…인구는 5천181만 명 '정체 흐름'

65세 넘는 노인 1천만 넘어…인구는 5천181만 명 '정체 흐름'
작년 외국인이 200만 명을 넘어섰지만 내국인이 계속 줄면서 총인구는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습니다.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65세 이상이 1천만 명을 처음 웃돌며 전체 인구 5명 중 1명이 노인이었고 젊은 세대의 노인 부양 부담 지표도 악화했습니다.

통계청은 29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를 발표했습니다.

작년 11월 1일 기준 총인구는 5천180만 6천 명으로 전년보다 3만 1천 명(0.1%) 증가했습니다.

총인구는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했다가 2023년 다시 늘어난 뒤 2년째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증가 폭은 전년(0.2%)보다 더 쪼그라들면서 사실상 정체하는 흐름입니다.

총인구 중 내국인은 4천976만 3천 명(96.1%), 외국인은 204만 3천 명(3.9%)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내국인은 7만 7천 명(-0.2%) 줄었지만 외국인이 10만 8천 명(5.6%) 늘면서 총인구 '마이너스'를 피했습니다.

내국인 인구는 2021년 이후 4년 연속 줄고 있습니다.

외국인은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2020년부터 2년 연속 줄다가 2022년부터 다시 늘어 작년 처음 2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고용허가제 확대, 지역 유학생 유치 등이 주된 요인으로 꼽힙니다.

외국인 국적은 중국(한국계)이 53만 8천 명(26.3%)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28만 5천 명·14.0%), 중국(22만 3천 명·10.9%)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전년과 비교하면 베트남(3만 8천 명)이 가장 많이 늘었고 미얀마(1만 2천 명), 네팔(1만 명) 등도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총인구를 연령대별로 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천626만 3천 명으로 28만 3천 명 줄었습니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542만 1천 명으로 마찬가지로 19만 9천 명 줄었습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1만 3천 명 늘어난 1천12만 2천 명을 기록, 처음으로 1천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고령인구 비중도 18.6%에서 19.5%로 상승했습니다.

대한민국 국민 5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노인이라는 뜻입니다.

고령화 영향으로 중위연령은 전년보다 0.6세 많은 46.2세였습니다.

중위 연령은 모든 사람을 나이 순으로 세웠을 때 중앙에 선 사람의 나입니다.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 지수는 186.7명으로 2019년(122.3명)보다 64.4명 늘었습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 인구는 14.9명으로 전년보다 0.4명 줄었고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인구인 노년 부양비는 27.9명으로 1.6명 늘었습니다.

권역별로 인구를 보면 수도권 인구가 2천630만 8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50.8%를 차지했습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19년 50.0%를 기록한 뒤 매년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가 1천391만 4천 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933만 5천 명), 경남(326만 4천 명), 부산(325만 7천 명)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서울·부산·광주·대전·울산 등 특·광역시는 지난 5년간 인구가 지속해서 줄고 있습니다.

전국에서 유소년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8.6%)이었습니다.

전남은 생산연령인구 비중(63.7%)이, 세종은 고령인구 비중(11.1%)이 가장 낮았습니다.

229개 시군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15세 미만 인구보다 많은 곳은 216개로 94.3%에 달했습니다.

전년(211개·92.1%)보다 5곳이 늘었습니다.

18세 이상 내국인(4천306만 5천 명) 중 미혼 인구는 1천273만 6천 명(29.6%), 유배우 인구는 2천430만 8천 명(56.4%), 사별·이혼 인구는 602만 2천 명(14.0%)이었습니다.

미혼 인구는 전년보다 6만 1천 명 늘었고 유배우 인구는 1만 3천 명 줄었습니다.

연령대별로 미혼율을 보면 20대 이하가 96.0%로 가장 높았고 30대(53.4%), 40대(21.0%) 등 순이었습니다.

작년 11월 1일 기준 총가구 수는 2천299만 7천 가구로 1.2%(26만 9천 가구) 늘었습니다.

이중 집단·외국인 가구는 3.1%(70만 3천 가구)를 차지했고 나머지는 모두 일반 가구였습니다.

일반 가구 중 1인 가구는 804만 5천가구(36.1%)로 집계됐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21만 6천 가구(2.8%) 늘어난 것입니다.

친족가구(1천366만 9천 가구)는 3만 가구(-0.2%) 줄었고 비친족가구(58만 가구)는 3만 5천 가구(6.5%) 증가했습니다.

1인 가구가 늘면서 평균 가구원 수는 전년보다 0.03명 줄어든 2.19명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작년 11월 1일 0시 기준 주민등록부·외국인등록부·건축물대장 등 다양한 행정 자료를 활용해 이뤄졌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