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저희가 단독 취재한 소식으로 이어갑니다. 범죄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일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교도관이 수용자들로부터 금품을 받고, 혼자 쓰는 방을 배정하는 데 관여한 정황을, 경찰이 포착한 걸로 확인됐습니다. 경찰은 오늘(28일) 법무부 교정본부와 서울구치소를 압수수색했습니다.
먼저 신정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신정은 기자>
경찰이 오늘 압수수색한 곳은 정부과천청사 내 법무부 교정본부와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 두 곳입니다.
이른바 '구치소 독방 거래' 정황을 포착하고 교정 당국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선 겁니다.
SBS 취재 결과 경찰은 교정본부 소속 교도관 A 씨가 최근 1년간 일부 수용자들로부터 '독거실 배정'을 명목으로 금품을 받은 정황을 포착한 걸로 확인됐습니다.
경찰이 압수한 A 씨 계좌들을 분석한 결과 수용자 여러 명으로부터 수천만 원을 입금받은 내역이 드러난 겁니다.
앞서 경찰은 독방 거래 의혹을 뒷받침할만한 여러 사건 관계자들의 진술도 확보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A 씨가 금품을 받은 이후 이들을 수용자 여러 명이 함께 쓰는 '혼거실'에서 1인실인 '독거실'로 방을 재배정하는 데 관여한 걸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A 씨에게 금품을 건넨 수용자 가운데 일부는 독거실에 일정 기간 머물렀거나 현재 머무는 걸로 알려졌습니다.
경찰은 오늘 7시간 넘게 진행된 압수수색을 통해 수용자 방 배정과 관련한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특히 서울구치소 총무과와 보안과, 의료과 등에서 수용자들이 방을 옮긴 기록 등을 압수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법무부 교정본부는 경찰 압수수색에 대해 "소속 직원의 개인적인 비위 의혹으로 보인다"며 "자체적으로 관련 내용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영상편집 : 최혜란)

<앵커>
경찰은 구치소 수용자들과 교도관의 독방 거래 과정을 연결해 준 브로커 2명도 구속했습니다. 이 브로커들은 조직폭력배 출신으로, 이번 사건의 배경에 배후 세력이 있는 건 아닌지, 경찰은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김진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김진우 기자>
경찰은 구치소 수용자들이 교도관을 통해 독거실을 배정받는 과정에 브로커들이 개입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경찰은 오늘(28일) 교정당국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에 앞서 지난 26일 '독방 거래'에 관여한 브로커 2명을 구속한 걸로 S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뇌물공여 혐의가 적용된 브로커 2명은 조직폭력배 출신으로, 경찰은 이들이 독거실을 원하는 수용자들로부터 수천만 원 상당의 금품을 받아 교정본부 소속 교도관 A 씨에게 일부를 전달한 걸로 보고 있습니다.
[사건 관계자 : ○○○하고 ○○○이라는 공범하고 둘이 독거실 가는 조건으로 얼마를 줬다고. 그렇게 해서 독거실을 갔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다른 사람이 자긴 안 보내주고 그 둘만 보내주니까 서운하다고.]
현행법상 구치소에 수감된 수용자들은 독거실에 배정되는 게 원칙입니다.
하지만 독거실 수보다 수용자가 많은 과밀 상태다 보니 수용자 대부분은 혼거실에서 4명에서 6명 정도가 함께 머무는 실정입니다.
이 때문에 독거실 배정은 수용자 특성이나 건강상태 등 엄격한 기준에 따라 관련 부서의 결재를 거쳐 결정됩니다.
수용자의 거실 배정은 구치소 보안과가 총괄하고, 냉난방 시설이 마련돼 있는 등 시설이 보다 쾌적한 의료수용동 독거실의 경우 의료과의 승인이나 확인이 필요합니다.
경찰은 이러한 기준이 있는데도 독방 거래가 버젓이 이뤄진 배경에 조직폭력배 조직 등 배후세력이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해 '독방 거래'의 구체적인 경위를 확인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영상편집 : 이상민, 디자인 : 강경림)

<앵커>
이 내용 취재한 사회부 신정은 기자와 더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Q. 소문 무성했는데…'독방 거래' 실체 드러날까?
[신정은 기자 : 솔직히 '이런 교정시설에서 독방 거래 의혹이 있다' 이런 소문은 무성했습니다. 그런데 이번 사건처럼 어떤 실체적인 브로커의 존재나 교도관이 뇌물을 받은 정황이 드러나서 경찰이 본격 수사에 나선 건 이례적입니다. 특히 서울구치소는 잘 아시겠지만 유명 정치인이나 연예인들이 자주 수용이 돼서 언론의 굉장히 주목이 높은 곳이고요. 또 우리나라에서 최대 규모의 대표적인 교정 시설인 만큼 관리도 엄격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곳에서 불법적인 독방 거래 의혹이 불거졌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충격적입니다. 교정 당국은 직원 개인의 비위라며 선을 그었지만 저희 보도로 직무와 관련한 중한 어떤 범죄 정황이 확인된 만큼 당국의 조사 그리고 대대적인 수사가 불가피해 보입니다.]
Q. 구치소 독거실은 어떤 곳?
[신정은 기자 : 사실 궁금하실 겁니다. 그날그날 구치소 수용 현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 방에 보통 4명에서 6명. 많게는 10명 넘게 수용되는 게 현실입니다. 두 평 남짓의 일반 수용동 독거실 같은 경우에는 침구류, 변기, 싱크대 뭐 이런 관물대 같은 것들을 다 혼자 씁니다. 또 의료수용동 독거실은 진단서 말고도 구치소 의료과의 어떤 승인이나 확인이 필요해서 방을 옮기는 게 더 까다롭거든요. 대신 여름에는 복도에 에어컨이 나오고요. 또 겨울에는 따뜻한 물이 싱크대에서 나옵니다. 휠체어 같은 걸 놓을 수 있는 여유 공간도 있는데, 저희 취재 결과 경찰의 서울구치소 압수수색 대상에는 의료과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의료 수용동 독거실에 대해서도 불법적인 거래 정황이 불거졌다 이렇게 볼 수 있는 대목인데 경찰의 수사 범위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