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동석 인사혁신처장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의 과거 발언을 둘러싼 더불어민주당 내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 처장은 국회 인사청문 대상도 아닌 데다 대통령의 인사권 문제라는 점을 이유로 당 지도부는 방어를 계속하고 있으나, 여권 인사를 무더기로 거칠게 비판한 그의 과거 발언이 연일 불거지면서 여론은 물론 당내 인식도 악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내 친문(친문재인)계 인사를 중심으로 비판적 목소리와 함께 사실상의 사퇴 요구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일했던 한 의원은 언론 통화에서 "최 처장 발언은 이미 선을 넘은 것 같다"며 "현재로서는 최 처장 논란이 문재인 정부와 이재명 정부의 갈등으로 비화할 요소는 없다고 보지만, 결과적으로 그런 틈을 파고드는 시도가 생길 수 있기에 이 사람은 정리하는 게 맞는다"고 말했습니다.
친문계 핵심인 윤건영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는 임명권자의 판단"이라면서도 "논란이 되는 인사가 있다면 사전에 이런저런 사정을 설명하고 이 사람이 필요한 이유를 제시하는 게 국민적 공감대를 얻는 데 용이할 텐데 이번엔 그런 과정이 생략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윤 의원은 지난 22일엔 '문재인이 모든 고통의 원천'이라고 한 최 처장의 과거 발언과 관련해 "치욕스럽기까지 하다"고 강하게 비판한 바 있습니다.
당 지도부는 곤혹스러우면서도 논란 확산 차단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민주당 원내 핵심 관계자는 오늘(28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 처장 관련 논란에 대해 "당내에서 이런 논쟁을 계속 가져가는 건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대통령께서 충분히 고민하고 (임명)하셨을 테니 인사 문제에 이러쿵저러쿵 얘기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박상혁 원내소통수석부대표도 YTN 라디오에서 "공직사회의 '철밥통' 이미지, 이런 부분을 깨려면 인사혁신처가 주도적으로 혁신안을 만들어야 하고, 대통령께서 그런 부분을 아주 중요한 인사 포인트로 생각해 임명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여러 의원이 개인적인 생각을 갖는 건 당연하지만, 최 처장을 임명한 이유가 있다는 점은 오히려 간과되고 있다"며 방어막을 쳤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