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도광산 세계유산 1년…시민단체 "강제노동 진상규명" 요구

사도광산 세계유산 1년…시민단체 "강제노동 진상규명" 요구
▲ 사도광산 갱도 찾은 한국인 희생자 유족들

한국과 일본 시민단체가 27일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1년을 맞아 조선인 강제노동 진상 규명을 요구했습니다.

민족문제연구소와 일본 강제동원 진상규명 네트워크는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사도 광산과 2015년 세계유산에 등재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에 대해 "동아시아 평화와 우호를 바라는 입장에서 조선인 강제노동 진상을 밝히고 그 역사를 올바로 기술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에는 또 다른 조선인 강제노동 현장인 하시마, 일명 군함도 탄광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 단체들은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재집권한 2012년 이후 일본 정부가 산업유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이용해 자민족 중심주의를 부추기고 강제노동 역사 부정을 추진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은 사도 광산과 관련해 일본 정부가 한반도 출신자 전시 공간을 만들었지만, 노동에 강제성이 있었다는 점은 인정하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안내 시설인 '키라리움 사도'에는 조선인 노동에 대한 전시가 없고, 니가타현이 수집한 '반도 노동자 명부'도 공개되지 않고 있다"며 지난해 일본 측 추도식은 반성도 사죄도 없는 행사였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에 대해서도 "메이지 시대 이후 근대사를 '산업화에 성공한 세계 역사상 특기할 만한 위업'으로 선전하며 침략의 역사를 감추기 위해 이용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러한 상황은 역사·문화유산을 통해 평화와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확산하고자 하는 유네스코 정신에 반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도 광산은 작년 7월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에 등재됐습니다.

한국은 일본이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자 조선인 강제노동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고 요구했고, 이에 일본은 조선인 노동자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노동자 추도식을 열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전시에는 노동 강제성과 관련된 표현이 포함되지 않았고, 작년 11월 추도식은 명칭과 추도사 내용 등에서 양국 간 견해차가 커 한국 측 유족이 참가하지 않은 반쪽 행사로 치러졌습니다.

올해 사도 광산 노동자 추도식도 예정됐던 7∼8월을 넘겨 9월 이후 열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