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 관세 영향에…현대차, 올 2분기 영업이익 15.8% 감소

미 관세 영향에…현대차, 올 2분기 영업이익 15.8% 감소
▲ 현대자동차 사옥의 모습

국내 1위 완성차업체인 현대차가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자동차 관세 여파로 분기 최대 매출에도 영업이익이 10% 넘게 감소했습니다.

현대차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3조 6천16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5.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24일) 공시했습니다.

지난해까지 최대 실적 흐름을 이어가던 현대차의 영업이익이 10%대로 감소한 것은 2분기 기준 2020년 이후 5년 만입니다.

지난 4월부터 부과된 미국의 25% 자동차 관세가 현대차 수익성을 끌어내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만 현대차는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차(HEV) 판매, 금융 부문 실적 개선, 환율 효과에 힘입어 매출은 7.3% 증가한 48조 2천86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분기 기준 최대입니다.

순이익은 3조 2천504억 원, 영업이익률은 7.5%였습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내,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 증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고, 경쟁 심화에 따른 인센티브 등 판매비용 증가로 손익이 둔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대차는 올해 2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0.8% 늘어난 106만 5천836대를 팔았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팰리세이드와 아이오닉9 등 신차효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5% 증가한 18만 8천540대가 판매됐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도 87만 7천296대가 팔리며 판매가 0.7% 늘었습니다.

특히 관세의 판매 가격 반영을 앞두고 수요가 크게 늘면서 미국 판매가 3.3% 증가한 26만 2천305대를 기록했습니다.

현대차는 관세 부과 후 현재까지 미국 현지 판매 가격을 동결 중입니다.

올해 2분기 글로벌 판매 증가는 친환경차가 견인했습니다.

상용차를 포함한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 대수는 작년 동기 대비 36.4% 증가한 26만 2천126대로 집계됐습니다.

이중 전기차(EV)는 7만 8천802대, 하이브리드차는 16만 8천703대로 집계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