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막뉴스] '찍찍' 마커로 휘갈겨 "5천억 달러"…일본 꿇린 '투자금 수금' 측근도 "처음 봤다"

미국과 일본 고위급 무역 협상단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앞에 두고 나란히 앉아 있습니다.

일본의 미국 투자 계획이라는 카드가 놓여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4천 억 달러라고 쓰인 부분을 5천억 달러로 마커를 이용해 수정해놨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일본의 투자 금액은 이보다 더 높은 5천 5백억 달러였습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트럼프 대통령이 마침내 미국이 바가지를 쓰는 일을 끝내고 있습니다. 대통령의 성공적인 협상 전략 덕분에 이제 많은 해외 시장이 처음으로 미국 산업에 개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이번 협상에서 일본은 총 5천 5백억 달러 우리돈 약 757조 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조성해 미국 내 전략 산업 프로젝트에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일본이 자금을 조달해 펀드를 조성하는데, 투자 대상과 사업자는 미국이 선정하고 수익은 미국이 90%, 일본이 10%를 가져가는 구조입니다.

미국은 이 조건을 수용하며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일본과 합의한 겁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미국은 더 이상 단순히 관세를 주고 받는 방식이 아니라, 전략 산업에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는 새로운 협상 모델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게 미국의 무역 표준이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빌 해거티 상원 의원은 "이런 구조는 본 적이 없다"며 "이건 외국인 직접 투자가 아니라 대규모 금융 지원 패키지"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민주당은 이 펀드가 전략적 사업뿐 아니라 트럼프의 정치적 목적 따라 쓰일 수 있다고 우려하며, 일부에서는 '정치적 비자금'이라고 부른다고 전했습니다.

미국은 일본과의 협상 모델을 유럽연합과의 협상에도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는데, 양측은 15% 관세 협상에 근접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보도했습니다.

(취재: 김수형, 영상편집: 이승희,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