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입양인 기록' 한데 모았지만…'물류창고 임시 서고' 분통

<앵커>

흩어져있던 입양인들의 기록을 앞으로 정부가 앞으로 한 곳에 모아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 자료를 정식으로 보관할 곳이 마련되지 않아 물류 창고가 임시 보관 장소로 정해졌습니다. 여기도 5년만 쓸 수 있는데, 입양인 단체는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최고운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기자>

경기 고양시의 한 물류센터 4층.

지하철역에서 내려 버스로 20분 더 가야 하는 이곳에, 입양인들의 기록이 임시 보관됩니다.

[한명애/아동권리보장원 입양사업본부장 : 이동식 서고 기준 2배 이상의 하중, 안전을 저희는 1순위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임시 서고는) 냉동 기능이 있는 건물일 뿐이고요. 임시 서고로 사용하면서 이제 냉동 기능을 활용하지는 않습니다.]

서고만 2천200여 제곱미터 면적에 항온항습기 4대와 고속 스캐너를 뒀습니다.

입양기관과 아동양육시설이 보유한 26만 권의 기록물을 시작으로, 지방자치단체 등의 입양 관련 기록물까지 차례로 옮겨집니다.

2년 전부터 아동권리보장원은 전문 기록관 건립을 추진했지만, 340억 원의 예산 확보가 안 돼 대신, 물류센터를 일단 5년간 임대했습니다.

[입양인 참여 보장하라! 보장하라!]

입양인 단체는 불신을 거두지 못하고 있습니다.

서류를 조작하고, 부모 몰래 입양을 보내는 등 입양기관들의 불법 행위의 역사가 있는데,

[김은혜/해외 입양인 (지난해 10월) : 입양기관은 잘못된 정보를 줘서 미안해했습니다. 두 아기가 같은 번호를 가지고 있었대요.]

보내오는 자료를 곧이곧대로 어찌 믿느냐는 겁니다.

이름과 성별을 다르게 입력하거나, 입양 서류 대신 백지를 스캔하는 등, 10년간 진행된 정부의 '입양 기록 전산화' 사업에도 부실이 드러나 경찰 수사가 진행 중입니다.

이번 기록 이관 과정에도 자신들은 배제되고 있다며, 입양인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김오묘/입양기록 긴급행동 공동대표 : 언론 설명회 하잖아요? 입양인들을 위한 설명회는 한 번도 없었습니다. 저희는 걱정돼서 스웨덴, 네덜란드, 미국에서 왔어요. 우리에게는 문을 열어주지 않고, 진행 과정을 말해주지도 않아요.]

보장원 측은 기록이 훼손되지 않게, 전문 기록사가 이관을 진행하겠다면서, 민감한 개인정보들이라 외부인 출입은 제한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영상취재 : 한일상, 영상편집 : 조무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