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원 금액에 따라 다른 색깔의 카드로 지급하거나, 아예 금액을 카드에 표기한 지역이 확인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사용하는 사람의 소득 구간이 카드에 드러나는 건데요. 대통령실은 인권 감수성이 매우 부족한 조치라며 즉각 시정하라고 지시했습니다.
KBC 박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1일부터 광주 각 동사무소에서 지급되고 있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현물카드입니다.
충전돼 있는 금액별로 3가지 색상으로 구별돼 있습니다.
문제는 이 소비쿠폰 지원 금액이 소득을 기준으로 차이를 둔다는 점입니다.
카드 색상만 보더라도 차상위계층이나 한부모가족인지, 기초생활수급자인지 알 수 있다는 겁니다.
이 때문에 행정 편의주의적인 발상이라며 논란이 일기 시작했습니다.
급기야 이재명 대통령이 "공급자 중심의 행정 편의주의적 발상이자 인권 감수성이 매우 부족한 조치"라며 즉각 시정을 지시하고 나서기도 했습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광주에서 제작된 문제의 선불카드에 스티커를 붙여 카드 색상이 드러나지 않게 조치했습니다.]
광주시도 즉각 사과문을 발표하며 빠른 시정을 약속했습니다.
카드만으로 금액을 알 수 없도록 모두 같은 디자인의 카드를 제작 지급할 예정이며, 수정된 카드가 나오기 전까지는 모든 카드에 같은 디자인의 스티커를 부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강기정/광주광역시장 : 시민의 생활 정보가 노출되어 시민에게 큰 불편을 끼치게 돼 죄송합니다.]
하지만 이미 발급된 카드가 6만여 장에 달하는 데다 통일된 디자인의 카드가 나오기까지 3~4주간의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해져 현장에서의 혼란은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행정안전부는 광주에서만 소비쿠폰 카드 색상에 차이가 있었고, 부산과 울산, 경남 일부 지역에선 액수를 표기했으나 다른 지역은 문제가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영상취재 : 장창건 KBC·전성현 KNN)
KBC 박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