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 KAI의 공중 전투 애니메이션입니다.
공군 수송기에서 넉 대의 무인기 편대가 투하됩니다.
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을 사방에서 호위하며 빠른 속도로 비행합니다.
[타깃 확인. 무인기 타깃 접근 실시한다. 오버.]
타격 명령에 무인기들이 앞서 날아갑니다.
조종사가 전방 모니터를 조작하자 무인기는 적 방공망을 파괴합니다.
[타겟 제거 완료!]
무인기에 방공망이 무력화된 적 공군 기지를 KF-21이 무차별 폭격합니다.
KF-21과 함께 작전하는 무인기는 지난 2021년 개발이 시작된 저피탐 무인편대기.
적 레이더 탐지를 최소화하는 스텔스 형상이어서 저피탐이고, 서너 대씩 편대가 KF-21과 짝을 이뤄 작전한다고 해서 무인편대기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흰색 동체에, 주날개와 꼬리날개에 빨간색이 칠해진 이 무인기는 저피탐 무인편대기의 기술시범기입니다.
현재는 기술시범기를 놓고 날개 조종면을 움직여 비행 기능을 점검하고, 광학/적외선 즉 EO/IR 감시정찰 장비와 스텔스의 성능을 강화하는 지상 개발 단계입니다.
올해 안에 첫 비행 시험을 하고, 이르면 내년 중 KF-21과 동반 비행 시험에 돌입하는 걸로 알려졌습니다.
[이명섭/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유인기와 무인기가 같이 협업을 하게 되면 유인기의 생존성을 상당히 높일 수 있을 걸로 판단하고 있고요. 무인기에 AI 기술이라든지 네트워크 기술들을 적용해서 실제 임무에서 훨씬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027년이면 저피탐 무인편대기 개발이 완료되고, 2030년쯤이면 KF-21과 완전하게 짝을 이뤄 작전에 투입될 전망입니다.
이렇게 되면 KF-21의 전투력이 배가될 뿐 아니라, KF-21과 저피탐 무인편대기의 수출경쟁력도 높아질 걸로 보입니다.
(취재: 김태훈 / 영상편집: 김종태 / 영상제공: 방위사업청, KAI /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