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허가받지 않은 불법 스테로이드를 해외 직구로 들여와 국내에서 판매한 일당이 적발됐습니다. 이들을 잡고 보니 전직 헬스 강사와 그 어머니였습니다. 이 모자는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서 스테로이드 원액을 들여와 직접 제조해서 팔기도 했습니다.
이 내용은 장훈경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부산의 한 오피스텔, 약국처럼 생긴 방에 빈 약통과 포장지가 가득하고, 액체가 든 병들이 늘어서 있습니다.
근육을 키우려는 목적으로 음성적으로 많이 쓰이는 스테로이드 원액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사관 : 여기서 제품 주문받아요?]
이 스테로이드 약품 제조 작업장 운영자는 전직 헬스 강사 출신 30대 김 모 씨와 그의 어머니 60대 한 모 씨, 모자는 해외 직구로 중국, 인도 등에서 허가 없이 스테로이드 원액을 들여와, 작은 용량으로 나눠 재포장해 팔았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사관 : 이거 멸균이 다 깨진 상태예요. 이거 구매자들이 맞으면 되게 위험하거든요.]
2023년에는 완제품을 들여와 팔다가, 지난해 4월부터는 원액을 들여와 국내에서 재가공했습니다.
25배나 많은 이득이 남기 때문입니다.
약품 라벨과 포장 상자도 마치 제약사 제품처럼 보이게 자체 제작했는데, 2년여 동안 텔레그램과 오픈채팅방 등을 통해 2만 3천 개, 12억 4천만 원어치가 팔려나갔습니다.
단속을 피하려고 제품값은 모바일 상품권으로 받거나, 무인 택배함을 통해 현금과 상품권으로 전달받았습니다.
구매자는 1천800여 명에 이릅니다.
[김영조/식약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장 : 엄격한 환경에서 제조된 것이 아니므로 투여 시 세균 감염, 면역 체계 파괴, 성 기능 장애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식약처는 약사법과 보건범죄특별법 위반 등의 혐의로 이들 모자를 검찰에 송치하고, 이른바 '몸을 만드는' 사람들 사이에서 무허가 의약품이 번지고 있어 수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 영상편집 : 윤태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