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의대 총장들 "의대 4학년 추가 의사국시 실시 정부 건의키로"

의대 총장들 "의대 4학년 추가 의사국시 실시 정부 건의키로"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정부와 교육계가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는 가운데 의대 총장들이 의대 본과 4학년이 추가로 의사국가시험(국시)을 치를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전국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관계자는 오늘(22일) 언론에 이런 계획을 밝혔습니다.

본과 4학년이 내년 8월 졸업을 하게 되면, 오는 9∼11월 실기, 내년 1월 필기 순서로 치러지는 올해 국시 응시 자격을 갖추지 못합니다.

국시 응시자격은 의대 졸업자나 6개월 이내 졸업예정자에게 주어집니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의학교육 평가 인증'에 따르면 각 의대는 주당 36시간, 총 52주의 임상실습울 확보해야 하므로, 이 조건을 채운 경우에만 의대 졸업과 국시 응시 자격이 충족되는 셈입니다.

이에 따라 의총협은 내년 상반기 국시를 추가 실시하도록 정부에 요청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국시 추가 실시가 이뤄지지 않으면 본과 4학년은 졸업 후 5개월 여가 지난 내후년 1월에야 의사자격을 얻게 됩니다.

의총협 관계자는 또 본과 3학년 졸업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며 "학교 자율에 맡겨야 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전국 의대 학장들의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오늘까지 열린 두 차례 회의에서 본과 3학년의 2개년 학사 운영 일정을 1년 6개월로 줄여 2027년 2월 졸업시키는 방안과 2027년 8월 졸업시키는 방안을 놓고 의논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교육부는 의대 총장·학장 단체들이 추가 논의를 거쳐 공통된 안을 가져오면 곧바로 협의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의대 학장단과 총장들이 계속 논의 중이며 (구체적인 안은) 이들 간 회의를 통해 정해질 것 같다"며 "이달 중으로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 마련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의대 총장들이 추가 국시를 정부에 건의하면 특혜 논란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17일 국회 홈페이지에 올라온 '의대생·전공의에 대한 복귀 특혜 부여 반대에 관한 청원'은 닷새만인 오늘까지 총 4만 6천여 건의 동의를 얻었습니다.

청원인은 "일부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교육과 수련을 스스로 거부한 후 복귀를 요구하며 특혜를 기대하는 모습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국민적 박탈감을 심화한다"며 "(의료 공백에 대한) 사과나 피해 보상에 대한 언급도 없이 특혜만 부여된다면, 이는 국민 정서에 심각한 거부감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